연합뉴스오픈AI(OpenAI)가 한국의 인공지능(AI)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 제안 보고서를 내놨다.
오픈AI는 23일 '한국에서의 AI: 오픈AI의 경제 청사진' 보고서를 공개하며, 한국이 프런티어 AI 기술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성을 확보하면서 산업 전반의 성장 동력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기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단력 있는 행동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AI의 경제적 잠재력은 워낙 크기 때문에 그 방향성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는 이제 이 새로운 지능의 시대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는 것이 이 보고서의 진단이다.
오픈AI는 보고서에서 "AI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술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위험은 최소화하기 위한 결단이 필요하다"며 "AI의 경제적 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는 새로운 시대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먼저 한국이 GPU와 컴퓨팅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픈AI와 같은 프런티어 AI 개발사와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효율적 인프라 설계와 에너지 최적화 등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오픈AI는 한국의 한국의 대규모 언어 모델은 최근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지만, 산업 전반에서의 배포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오픈AI와 같은 프런티어 개발자들이 축적한 대규모·안정적 배포 역량을 활용해 AI도입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또 '듀얼 트랙 전략'을 제안했다.
이는 국가 차원의 독립적 AI 생태계 구축과 동시에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을 병행하자는 것이다.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 주권 강화 정책과 함께 오픈AI와 같은 세계적 개발사와 협력해 첨단 기술에 접근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지난 10월 1일 오픈AI가 삼성전자, SK,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체결한 협약을 대표 사례로 들었다. 오픈AI는 삼성 및 SK와 각각 DRAM 웨이퍼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과기정통부와 국내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오픈AI의 글로벌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참여한다.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이뤄진 국가 단위 협력 사례다.
오픈AI는 "한국은 글로벌 협력을 통해 오픈AI가 이끄는 대규모 AI 생태계의 핵심 참여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이는 결과적으로 소버린 AI 생태계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둘 모두를 동시에 견인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또 산업·중소기업(SME), 의료, 교육 등 빠르게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우선 대상으로 삼아 글로벌 협력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접근이 단기간에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고, AI의 파급효과를 경제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보고서는 이 같은 전략이 기술·금융·정책 지원이 결합된 'AI 국가 패키지'로 발전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강력한 'K-AI 생태계'를 구축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책임자는 "지금은 새로운 지능의 시대에 진입한 시점"이라며 "한국은 반도체·디지털 인프라·인재·정부 지원 등 강점을 바탕으로 역사적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접근은 한국을 단순한 기술 수용국이 아닌,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고 신뢰받는 확장형 AI 시스템 제공국으로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