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호 기자김영환 충청북도지사의 돈봉투 수수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를 넘어 뇌물 수수 혐의 적용까지 검토하는 등 수사 범위를 한층 넓히고 있다.
김 지사는 공식 브리핑을 통해 억울함을 호소하는 등 거세게 항변했다.
경찰이 뇌물 혐의로 주목하고 있는 건 충북도 농업기술원이 추진 중인 양액재배 시험포 시범 사업이다.
이 사업에는 김 지사에게 돈봉투를 건넨 의혹을 받고 있는 체육계 인사가 개인 사업체를 통해 참여하고 있는데, 경찰은 사업 추진 경위와 특혜 여부 등 관련성을 살펴보고 있다.
경찰은 지난 20일 괴산군 청천면에 있는 김 지사 소유 농막을 찾아 시설물 설치와 수리 과정에서 돈이 오간 정황이 있는지 등을 조사하기도 했다.
경찰 수사가 정점으로 향하고 있는 가운데 김 지사는 21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까지 열어 혐의를 완강히 부인했다.
김 지사는 "특혜와 뇌물은 전혀 없었다"며 "30년 정치를 하면서 전과 하나 없고 부끄러운 일도 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충북에서 여러 가지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데, 수사 과정이나 필요하면 법정이나 어디 가서든 뚜렷하게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막 설치 비용에 대해선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라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조사를 마치고 나오는 김영환 충북지사. 임성민 기자김 지사는 또 경찰의 압수수색이 적법하다는 법원 결정에 불복해 청주지방법원에 재항고장을 제출했다.
김 지사 측은 블랙박스 영상이 차량 소유주의 동의 없이 제출됐고, 내용 역시 타인 간 대화를 불법적으로 녹음한 자료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통신비밀보호법에 위배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법원은 경찰의 압수수색 집행이 적법하게 이뤄졌다고 보고 지난 기각 결정을 내렸다.
앞서 지난 8월 경찰은 김 지사가 지역 체육계 인사들로부터 돈봉투를 건네받았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김 지사의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 했다.
경찰은 김 지사 진술과 확보 증거를 교차 검증한 뒤 추가 소환 조사 등 향후 수사 방향을 정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여러 정황에 대한 사실관계 전반을 확인하고 있다"며 "자세한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6월 26일 일본 출장을 떠나기에 앞서 도지사 집무실에서 윤현우 충북체육회장으로부터 현금 500만 원이 든 돈봉투를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윤현우 충북체육회장과 윤두영 충북배구협회장 등 2명이 각 250만 원씩 모아 김 지사에게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 4월 미국 출장을 앞두고 윤현우 체육회장과 윤두영 배구협회장, 이재수 충북롤러스포츠연맹회장 등 3명으로부터 600만 원을 받은 혐의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