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광주시, 일상 속 AI 실증 확산…'AI 실증도시' 선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AI 스킨케어·심리상담·보행안전 등 시민생활 밀접 실증 활발
공공공간 3300여곳 개방…혁신기술 실증 지원 체계 강화

무인 AI 상담실. 광주광역시 제공무인 AI 상담실.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시가 시민의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실증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AI 실증도시 광주'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20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시는 시민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 AI 기술을 접목해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특히 '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사업'에 45개사와 'AI 실증' 4개사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는 22개 기업과 함께 실증장소를 연계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도심 곳곳을 혁신기술의 시험무대로 만들어 기업의 사업화를 돕고 있다. 이를 위해 공원과 공공청사 등 3300여개 공공 실증자원을 확보해, 기업이 실제 생활환경에서 자유롭게 기술을 시험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매년 35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AI 실증도시 광주' 브랜드를 공고히 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시민이 체감하는 AI 실증 확산

대표적인 실증사업으로는 △AI 맞춤형 스킨케어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심리상담 △AI 감지센서를 활용한 어린이 보행안전 △자전거도로 AI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있다.

광주시청사 1층 열린공간은 AI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생활 속 AI 체험존'으로 탈바꿈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창업진흥센터 입주기업인 닥터케이헬스케어㈜는 AI 기반 피부진단·솔루션 기기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기기는 개인별 피부 상태를 정밀 분석해 맞춤형 관리법을 제시하며, 시민은 현장에서 바로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지역 화장품 기업의 추천제품을 체험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지역 화장품 산업의 맞춤형 제품 개발과 사업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헬프티쳐가 개발한 '무인 AI 상담실'도 같은 공간에 설치돼 있다.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다중양식(멀티모달) 감정분석 기술을 탑재해, 이용자의 음성·표정·텍스트를 분석하고 GPT 계열 모델이 공감형 대화를 제공한다. 이 AI 상담실은 광주과학관과 유스퀘어 등으로 확대 설치돼 시민 정신건강 돌봄에 기여할 예정이다.

교통·안전분야도 AI로 혁신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광주' 실현을 위한 AI 교통안전 실증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구 금남로 창업캠프 입주기업 에이치인텔리젼스는 북구 서림초등학교 인근에서 'AI 사각지대 스마트 아이'를 실증 중이다. 감지센서와 대형 LED패널이 보행자·운전자에게 실시간 교통위험을 알리는 시스템으로, 어린이의 안전한 등하굣길 확보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해 광산구 쌍암공원 자전거도로에 'AI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이동을 예측하고 바닥 LED로 긴급 알림을 제공하는 실증도 추진 중이다.

광주시 손두영 미래산업총괄관은 "광주가 추진해 온 AI 사업이 시민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실증사업을 통해 기업 기술이 시민의 삶 속에서 살아 숨쉬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