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제공올해 온열질환자 수가 4460명으로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여름(6월 1일~8월 31일) 전국 평균기온은 25.7도로, 지난해 여름(25.6도)을 제치고 1973년 기상관측 이후 가장 더웠다.
질병청이 올해 5월 15일부터 9월 25일까지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중 참여 희망 기관 500곳가량을 대상으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와 온열질환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망자를 신고받은 결과, 온열질환자는 4460명, 사망자는 29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온열질환자는 지난해(3704명)에 비해 20.4% 증가해 2018년(4526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다만 사망자는 지난해 34명에 비해 14.7% 감소하며 역대 네번째로 많았다. 사망자는 2018년에 48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 34명, 2023년 32명, 올해 29명 순이었다.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날은 7월 8일로 하루에만 259명이 나왔다. 이날 평균 최고기온은 34.1도였다. 이어 7월 28일이 167명(34.9도), 7월 22일 147명(32.7도)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9.4%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18.7%, 30대 13.6% 순이었다. 65세 이상 노년층 비율은 30.1%였다.
발생 장소는 실외가 79.2%로 대다수였다. 특히 실외 작업장이 전체의 32.1%를 차지했으며 논밭은 12.2%, 길가는 11.7%였다.
질환별로 보면 열탈진이 62.0%로 가장 많았고, 열사병 15.0%, 열경련 13.7%, 열실신 7.7% 순이었다.
온열질환 사망자 중에서는 60세 이상이 18명으로 노년층이 과반이었으며, 23명은 실외에서 사망했다.
온열질환이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 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며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올해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와 찾아가는 현장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장애인 등 취약계층 맞춤형 수칙을 마련했다"며 대상자·상황별 맞춤 예방 매뉴얼을 추가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