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꺼진 불만 안내하는 원전 화재 문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최근 5년간 원전 5곳 모두 화재 발생 문자 알림 지연
조인철 의원 "원전 고위험 시설인 만큼 화재 사고 시 '주민에게 즉시 알리도록' 명문화해야"

조인철 국회의원. 조 의원실 제공조인철 국회의원. 조 의원실 제공
국회 과방위 조인철 국회의원(광주 서구갑, 더불어민주당)이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원전 화재 시 민간감시기구 통보는 최대 12시간 37분, 문자는 최대 20시간 12분이 지나서야 발송되어 주민 알림 체계에 허점이 드러났다.
 
현재 원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한수원은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원전 민간환경감시기구에 통보하고, 누리집을 통해 'SMS 알리미' 서비스를 사전신청한 사람에게만 재난발생 관련 알림 문자를 발송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5년(2021~2025) 간 원전 화재 시 민간감시기구에는 최대 12시간 37분이 지난 후에야 통보되었다. 문자 알림의 경우 화재 발생 후 평균 8시간 58분 지연되었으며, 올해 일어난 한빛 5호기 화재의 경우 20시간 12분이 지난 다음날에야 문자가 발송되었다.
 
조 의원은 "현재 원전 화재 시 지역 주민 알림 대응체계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라며 "이미 완진이 된 후에야 문자를 받는 것이 재난을 대피하는 데 무슨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이어 "원전은 단순 화재로도 원자로 정지, 최악의 경우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시설인 만큼 화재 사고 시 '주민에게 즉시 알리도록' 고시 또는 내규에 명문화하는 등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수원 'SMS 알리미' 서비스는 홍보가 부족했던 것인지 10월 13일 기준 신청자는 2755명에 불과하다. 64만명에 이르는 원전 소재지(영광군, 기장군, 울주군, 경주시, 울진군) 주민들에게 소식을 알리기에는 역부족인 셈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