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연합뉴스미중 양국이 14일부터 상대국 선박에 대해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등 해운·조선 분야에서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미국의 자국 해운·조선 분야에 대한 조사를 지지·지원했다는 이유로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의 해운·물류·조선산업에 대한 미국의 (무역법) 301조 조사 조치에 대응해 국가대외제재조정기구의 승인을 얻어 10월 14일부터 발효되는 '한화오션주식회사 5개 미국 자회사에 대한 대응조치 결정'을 공표한다"고 밝혔다.
제재 대상 기업은 이재명 대통령도 미국 순방 당시 방문한 바 있는 한화 필리조선소(Hanwha Philly Shipyard Inc.)한화쉬핑(Hanwha Shipping LLC), ,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Hanwha Ocean USA International LLC), 한화쉬핑홀딩스(Hanwha Shipping Holdings LLC), HS USA홀딩스 등 5개다.
중국 상무부는 중국 국내의 조직 및 개인은 이들 5개 기업과의 거래, 협력 및 기타 활동을 금지한다고 공표했다.
중국 상무부는 대변인 명의의 별도 입장문을 통해 "미국은 중국 해운·물류·조선 분야에 대한 301조 조사의 최종 조치를 시행하기 시작했다"면서 "이는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규범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며,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들은 미국 정부가 301조 조사를 진행하고 중국의 해운·물류·조선 분야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지지하고 지원했다"고 주장하며 "중국은 이에 대해 강력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은 미국과 관련 기업들에게 사실과 다자간 경제 및 무역 규칙을 존중하고, 시장 경제와 공평 경쟁의 원칙을 준수하며, 관련된 잘못된 관행을 조속히 바로잡고 중국의 이익을 해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협상 과정에서 미국의 조선업 부활을 지원하는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지난해말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필리 조선소를 인수하는 등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에 앞장서고 있는 한화오션은 그 핵심 역할을 맡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관련해 중국 당국은 그동안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해 왔지만 중국 매체들은 "한국 조선산업은 미국 조선 산업을 부활시키고 중국 지배력을 억제하려는 워싱턴의 야망을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위치에 있어 보인다"면서 경계감을 표시해 왔다.
이런 가운데 미중 양국이 이날부터 상대국 선박에 대해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하는 등 해운·조선 분야에서의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한국 기업에 불똥이 튄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지난 10일 발표한대로 미국 선박에 대한 특별 입항 수수료 부과 조치에 따라 이날부터 t당 400위안(약 8만원)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앞서, 지난 4월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이날부터 중국 선박에 t당 50달러(약 7만 1천원)의 입항료를 부과한 뒤 순차적으로 인상해 2028년에는 t당 140달러(약 19만 9천원)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