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연합뉴스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오는 15일 회담을 가질 것이냐는 국회의 질의에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제가 만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13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종적으로 국익 우선, 실용에 입각한 타결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이처럼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국제통화기금)·WB(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총회에는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등이 참석하기 때문에 구 부총리와 베선트 장관의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투자 3500억달러를 현금으로 지불하는 방안을 감당할 수 있느냐'는 질의에 구 부총리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 외환 사정에 대해 지난번 베선트 장관을 충분히 설득했다"며 "베센트 장관에게 우리 외환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내부적으로 논의를 하겠다는 답변은 받았다"고 말했다.
또 '관세 협상을 빨리 결론내야 한다'는 지적에도 "산업부 장관과 제가 계속 미국에 우리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고 있다"며 "미국 측에서도 일정 부분은 한국의 상황을 이해한다는 메시지도 있다"고 답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최은석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구 부총리는 미국과 일본 간의 관세협상 '이면합의' 가능성에 대해 일본 측에 확인을 요청했지만, 답이 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일본이 5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지만, 실제 투자액은 1~2%이고 나머지는 대출이나 대출 보증'이라는 일본 경제재생상 발언과 관련한 질의에 "관계부처에서 일본 카운터파트에 알아보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공식적으로는 우리에게 지금 답을 안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 간 셔틀외교에도 논의된 사안이 없느냐'는 질의에도 "네. 없었다"고 답했다.
구 부총리는 "일본이 어떻게 했든 상관없이 국익 관점, 한국의 국내 사정, 실용 측면에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해서 미국과 얘기하고 있다"며 "미국이 일정 부분 이해하는 측면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