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中 23억 명 대이동 국경절 연휴 시작…무비자에 韓 여행 급증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8일간 국경절 연휴 시작되자 여행 수요 폭발…"모든 객실 꽉 찼다"
중국인 단체여행객 '무비자' 시행에 국경절 한국 찾는 여행객 급증
무비자로 100만 명 더 찾는다는데 커지는 반중·혐중 정서는 걸림돌
한국은 가고싶지만 반중 시위가 걱정…중국대사관 주의 당부까지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승객으로 가득찬 상하이 홍차오 기차역. 펑파이 홈페이지 캡처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승객으로 가득찬 상하이 홍차오 기차역. 펑파이 홈페이지 캡처
중국의 국경절 연휴가 1일 시작됐다. 8일간의 연휴 기간 연인원 23억명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인 단체여행객에 대한 무비자 시행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객실 꽉 찼다"…국경절 연휴에 여행 수요 급증


중국 교통운수부는 지난달 28일 올해 국경절 연휴 기간(1~8일) 중국 전체 인구 유동량이 23억 6천만명(이하 연인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밝혔다.

교통운수부는 또, 일평균 이동 인구는 2억 9500만명으로 지난해 국경절 연휴 이동 인구(2억 8600만명)에 비해 3.2%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휴 기간 자가용 운전 이동 인구가 18억 7천만명으로 전체 이동량의 80%가량을 차지하고, 고속도로 하루 이동 차량이 최대 7천만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철도 이용객은 2억 1900만명으로 추산된다.

통상 중국인들은 춘제(중국의 설) 연휴에는 우선 고향을 방문한 뒤 남은 기간을 이용해 여행을 즐긴다. 반면 국경절 연휴에는 고향 방문 보다 여행이 우선순위인 경우가 많다.

올해 국경절 연휴에도 대규모 여행 수요가 예상되는데 중국 당국은 광저우와 청두·베이징·상하이·시안·항저우·난징·충칭 등의 여행 수요가 이미 지난해 수준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개통한 세계 최대 높이의 현수교인 '화장 대협곡 대교' 인근에서 홈스테이를 운여하는 린궈취안 씨는 언론 인터뷰에서 "국경절 연휴 기간 40개 규모의 객실 예약이 모두 꽉찼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긴 연휴를 내수 활성화의 기회로 삼고자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한다. 중국 문화관광부에 따르면 각 지역에서 이번 연휴 기간 대규모 조명쇼와 문화유산 전시 등 1만 2천건의 문화활동을 기획했다.

천펑잉 현대국제관계연구원 연구원은 "경제의 중요한 동력인 국경절 연휴 기간 관광 및 소비 부문의 급증은 거시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연간 GDP 성장률 목표인 약 5%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비자 시행에 "한국 가자"…인천항.면세점 등 '들썩'

입국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들. 연합뉴스입국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들. 연합뉴스
이번 국경절 연휴 기간 중국인의 해외여행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당국은 러시아·일본·한국·동남아시아를 찾는 여행객이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한국이 중국인 단체여행객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지난 29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만큼 한국을 찾는 중국인 여행객이 이전 연휴에 비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정부는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의 중국인 단체여행객이 내년 6월 30일까지 15일 범위 내에서 비자 없이 국내 관광을 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실제 무비자 시행 첫날 인천항 국제크루즈터미널에는 중국 선사 톈진동방국제크루즈 소속 7만 7000t급 크루즈 '드림호'가 중국인 승객 2189명을 태우고 입항했다.

드림호 승객 가운데 일부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신라면세점을 찾았다. 또, 승객 1700여명은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을 순차적으로 방문하기로 하는 등 중국 여행객들은 한국의 내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무비자 정책으로 내년 6월까지 중국인 여행객이 100만명 더 늘어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이들을 겨냥해 K드라마와 K팝 등 '한류 체험', 의료를 포함한 '웰니스', 'K푸드 투어' 등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해 수요를 창출할 계획이다.

100만명 더 찾는다는데…반중·혐중 정서는 걸림돌

연합뉴스연합뉴스
다만, 12.3 내란사태 이후 한국내 커지고 있는 반중·혐중 정서가 중국인 여행객 확대를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비자 시행 첫날에도 서울 여의도에서는 반중 집회가 열렸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지난달 30일자 사설에서 한국의 무비자 정책을 환영하면서도 "우려스러운 것은 최근 한국의 일부 극우 단체들이 서울 명동 등지에서 반중 시위를 빈번하게 벌이고, 일부 정치인들이 반중 음모론을 선동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이러한 행위는 악영향을 미쳐 양국 관계의 분위기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한국의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미쳤다"면서 "한국 측이 중국인 여행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안전을 제공하고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건전한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기를 바란다"고 썼다.

실제 중국 소셜미디어(SNS) 웨이보 등 온라인상에서는 한국 여행을 가고 싶지만 반중 집회시위로 인해 꺼려진다는 게시물과 댓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한 웨이보 사용자가 "한국인들이 곳곳에서 반중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런 곳에 가지 말자"라는 게시글을 올리자 "왜 중국을 증오하는지 이해 못하겠다", "인종차별이다" 등의 댓글이 달리고 있다.

이에 주한 중국대사관은 무비자 시행을 앞두고 SNS 게시글을 통해 한국을 찾는 자국 여행객들은 반중 시위를 주의하라고 당부하며 안전 수칙을 안내하기도 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