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당 지도부가 28일 오후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사법파괴 입법독재 국민 규탄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류영주 기자국민의힘이 대구에 이어 곧장 서울에서 장외투쟁을 벌였지만 기대만큼 투쟁 동력을 얻지 못했다. 애초 당 지도부는 "10만 명은 모이지 않겠느냐"고 전망했지만, 경찰 비공식 추산 1만 명이 모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장외 여론전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다.
그 와중에 당의 지방선거 준비도 바빠졌다. 당은 추석 이후 본격적으로 벌어질 6·3 지방선거 공천 경쟁에 대비해 조직 정비와 후보자 평가 시스템 구축에 돌입했다.
서울 집회 15만명? 경찰 추산은 1만명
28일 오후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규모 장외 집회 '사법파괴 입법독재 국민 규탄대회'에 인파가 몰려 있다. 류영주 기자
29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은 전날 국민의힘의 서울시청 앞 장외투쟁 참석 인원을 1만 명으로 비공식 집계했다.
국민의힘은 집회 종료 직후 "전국적인 폭우 속에도 전국 각지에서 15만 명 이상의 당원과 시민 여러분이 참석해주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경찰 집계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발표였다.
국민의힘은 서울 집회에 유독 신경을 썼다. 대구 집회 때와 마찬가지로 각 지역 당협별로 동원 인원을 할당했다.
하지만 현장 분위기를 압도할 만큼의 열기를 만들지 못했다. 전날 시청역 7번 출구에서 시작된 참가자 행렬은 삼성 본관 빌딩에서 멈췄다. 인파가 숭례문까지 닿지 못했다. 애초 당 지도부 관계자는 "서울 집회에는 최소 10만 명이 모일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흥행에는 사실상 실패했다.
지난 21일 대구 집회 당시에도 국민의힘은 7만 명이 모였다고 했지만, 경찰 비공식 집계는 2만 명에 불과했다.
이를 두고 장외투쟁이 수도권 민심을 움직이기에는 한계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장외투쟁에 대해 "결국 언론과 국민은 '윤어게인 깃발' 숫자만 본다. 우리끼리 잔치일 뿐 일반 국민들이 여기에 호응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장동혁 대표가 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따라가는 것이지, 시간이 지날수록 (장외투쟁 동원력에) 한계가 있다"며 "이번이 사실상 마지막일 것"이라고 했다.
한 재선 의원은 "(장외투쟁을 해도) 민주당은 눈도 깜빡하지 않는다"며 "국정감사도 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민주당 마음대로다.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다만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도층에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 지지층 결집이 우선이란 의견도 나왔다. 한 수도권 지역 의원은 "우리는 아직 산토끼 잡을 여유가 없다"며 "다 떠나간 지지층 결집부터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빠진 지방선거 준비…"당 정상화 해야"
28일 오후 서울시청 인근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규모 장외 집회 '사법파괴 입법독재 국민 규탄대회'에 인파가 몰려 있다. 류영주 기자그러면서 지방선거 준비도 바빠졌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헛발질과 동시에 장외투쟁을 벌여 지지층 결집과 국민적 호응을 기대했지만, 별다른 동력을 얻지 못했다.
바빠진 국민의힘은 이날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가 첫 회의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TF는 정점식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와 김선교 의원이 각각 국회의원 분과장, 지방자치단체장 분과장을 맡는다.
당은 향후 공천 과정에서 민심에 부합하는 인물을 선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평가 기준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장동혁 대표가 "제대로 싸우는 사람만 공천을 주겠다"고 밝힌 만큼 상임위원회·본회의 활동은 물론 필리버스터, 의원총회, 장외집회 기여도까지 종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진짜 투쟁 정도를 평가 지표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도 사고 당협 정비에 나섰다. 지난 26일 첫 회의를 연 조강특위는 수도권 19곳을 포함해 공석인 34곳 당협위원장 공모 절차를 곧 시작한다. 서울에서는 광진갑·양천갑·구로을 등 8곳, 경기도에서는 수원병·고양정 등 10곳이 공석이다. 신임 당무감사위원장 선임 이후에는 기존 당협위원장에 대한 교체 작업도 진행될 예정이다.
당 지도부는 서울과 부산 등 격전지를 반드시 사수해야 한다는 데 공통된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서울과 부산을 포함해 12개 광역자치단체장을 차지했지만, 이번에는 그 성과를 지켜내야 하는 방어전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부산을 사수하지 못할 경우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크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우리는 계엄을 한 정당이기 때문에 힘을 얻기는 아직 멀었다"며 "장동혁 대표 체제에 들어선 지 아직 한 달도 안 됐다"고 말했다. 이어 "계엄 이후 우리 당이 얼마나 힘들었느냐"며 "당과 지지층을 제자리에 돌려놓는 정상화부터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