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광주시, 중국 항저우서 '모두의 AI' 길 찾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공공 인프라·인재양성·기술개발·실증·산업 연결한 전략 구체화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5일(현지시간) 오후 중국 항저우 인공지능컴퓨팅센터를 방문해 센터 관계자로부터 내부 시설을 소개 받고 있다. 광주시 제공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5일(현지시간) 오후 중국 항저우 인공지능컴퓨팅센터를 방문해 센터 관계자로부터 내부 시설을 소개 받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중국 항저우시의 인공지능(AI) 정책을 벤치마킹하며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와 'AX 실증밸리' 조성을 위한 전략을 구체화했다. 정부 주도 대규모 투자가 이끈 항저우의 성공 사례를 토대로, 광주가 '모두의 AI'를 실현해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

강기정 시장을 비롯한 광주시 대표단은 25일 오후(현지시간) 항저우AI컴퓨팅센터, 항저우AI타운, 저장대학교, AI 기업 등을 잇따라 방문해 인프라 구축과 운영 전략을 분석했다. 대표단이 찾은 곳들은 하나같이 "정부의 전폭적이고 집적된 투자가 오늘의 항저우를 만들었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중국은 현재 25개의 공공형 AI컴퓨팅센터(총 5000펩타플롭스)를 구축해 기업, 대학, 연구기관에 서비스하고 있다. 항저우AI컴퓨팅센터 역시 2019년 국가 차세대 AI 혁신발전 시범구 지정 이후 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 화웨이와 손잡고 집중적으로 육성한 성과다. 이는 중국 AI 혁신기업들의 성장 발판이 됐다.

반면 한국의 공공형 AI 인프라는 광주가 보유한 국가AI데이터센터와 AI집적단지가 사실상 유일하다. 광주시는 국가AI컴퓨팅센터 공모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자신들이 최적지임을 강조하며 추가 구축 필요성을 정부에 강하게 설득하고 있다.

대표단은 저장대, 알리바바 등과 연계해 산업벨트 중심 역할을 하는 항저우AI컴퓨팅센터 운영 모델을 살폈고, 5G혁신파크 등 실증거점의 성공 사례도 확인했다. 이어 중국 '육소룡(六小龙)' 기업 창업가를 다수 배출한 저장대학교 마옌밍 총장을 만나 인재교류 협력의 물꼬를 텄다.

강기정 시장은 "항저우의 AI 성장 과정을 보면서 대한민국 소버린AI를 향한 광주의 길이 맞다는 것을 확신했다"며 "AX실증밸리 조성과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반드시 성공시켜 대한민국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