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과 함께하는 수업·평가. 서울시교육청 제공서울시교육청을 비롯한 11개 시도교육청이 공동으로 개발한 인공지능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이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서울시교육청은 23일 '인공지능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의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2023년 시도교육감협의회 제안에 따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위탁해 개발 중이며, 교사의 블렌디드 수업을 지원하고 교육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학생 맞춤형 학습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개통은 올해 하반기 3단계로 진행된다. 9월 4주차 1차 개통에서는 선도교사를 대상으로 구글·네이버 등 빅테크와 민간 에듀테크 서비스를 통합 로그인으로 연계한다.
11월 2차 개통에서는 수업 저작도구와 콘텐츠 활용 기능을 추가한다. 12월 3차 개통에서는 학습 데이터 분석 기능을 탑재해 학생에게는 개별화된 학습 정보를, 교사에게는 수업 설계 지원 자료를 제공한다.
2026년부터는 AI 분석모델이 본격 도입돼 학습 데이터 기반 맞춤형 분석과 예측 기능을 제공하고, 인공지능 학습 자원지도 및 교육 유통 시스템도 고도화될 예정이다.
각 교육청은 선도교사단을 운영해 현장 적용을 돕고 플랫폼 활성화를 지원한다. 이들은 수업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인공지능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학습 지원과 교원 연수를 통한 역량 강화, 포용적 협력교육 실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