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공정거래위원회는 위기를 맞은 석유화학 기업들 간의 기업결합 등 사업재편 계획에 대해 신속히 심사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공정위는 23일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서 주요 10개 석유화학 기업들과 기업결합 심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기조를 업계에 전달했다.
석유화학 산업은 중국과 중동발 공급 과잉의 직격탄을 맞아 생존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앞서 지난 8월 10개 석유화학 기업은 오는 연말까지 구체적 사업재편 계획을 내기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 과정에서 기업결합 형태가 적극 활용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공정위가 선제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공정위는 석유화학 기업들의 현재 진행 중인 사업재편 논의 상황을 공유받고, 기업결합 심사와 관련된 각종 질의에도 응답했다. 또 기업 간 상시 소통채널을 구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책임 있는 자구 노력을 기울이는 기업에 대해서는 기업결합 심사 역량을 우선 배정해, 관련 불확실성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다만, 공정위는 이러한 신속 심사를 위해서는 기업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석유화학 산업은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어 있고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기업결합 심사 시 경쟁 상황, 상품 특성, 거래 구조 등 복잡한 요소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공정위는 사전컨설팅 제도(기업결합 신고 전 사전 자료협의)와 임의적 사전심사 제도(M&A 본계약 체결 전 경쟁제한성 예비 심사) 등 심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안내하고, 기업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