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교육청 전경. 전라남도교육청 제공전라남도교육청이 최근 발표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예방과 회복 중심의 맞춤형 대책을 내놓았다.
19일 전라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는 지역 내 초·중·고 학생 12만여 명이 참여해 88.4%의 응답률을 기록했으며, 피해 경험 응답률은 2.5%로 지난해보다 0.3%포인트 올랐다. 특히 집단따돌림과 사이버폭력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교육청은 언어문화 개선, 어울림 활동, 사이버폭력 예방 등 존중과 협력을 강조하는 학교문화를 확산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학교문화 책임 규약·학교생활 규정' 개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는 '관계회복 숙려제도'를 시범 운영해, 사소한 갈등은 형사 절차나 과도한 징계 대신 학교장 자체 해결과 교육적 프로그램으로 풀어가도록 한다.
사이버폭력 대응을 위해 경찰청·스마트쉼센터와 협력해 전문강사 37명을 투입, 찾아가는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117신고센터와 연계한 온라인 신고·유해정보 삭제를 강화한다.
또 교직원 연수와 학부모 교육을 확대하고, 교내 위험 시간·장소 중심의 순회 지도를 강화한다. 피해 학생을 위한 익명 신고 시스템을 보완하고, 목격 학생이 조력자로 나설 수 있도록 캠페인도 전개한다.
사안 처리 이후에는 '회복학교'를 운영해 학생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돕고, '치유와 성장을 위한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교와 교육지원청에 지원한다.
김광식 민주생활교육과장은 "학교폭력은 공동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으로 학부모 불안을 덜고 학생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