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 제공억대 연봉을 받는 농협 임직원이 해마다 늘어나고 성과급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경북 구미시을)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임직원 2575명 가운데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는 직원은 1121명으로, 전체의 43.5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억대 연봉자 수는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 현황을 보면 △2020년 913명 △2021년 979명 △ 2022년 1073명 △2023년 1045명 △2024년 1121명으로, 5년 사이 전체 직원 대비 비율도 2020년 37.1% 에서 2024년 43.5%로 상승했다.
2024년 기준으로 억대 연봉자의 직급별 분포는 △M급 145명 △3급 566명 △4급 406명 △5급 이하 4명으로, 대부분 중간 간부급 이상에 집중돼 있었다.
성과급 역시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330억원 △2021년 422억원 △2022년 512억원 △2023년 609억원 △2024년 744억원이 지급됐다. 같은 기간 1인당 평균 지급액은 1300만원 수준에서 2800만원 수준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가 인구는 1980년 1082만명에서 지난해 기준 200만명으로 무려 5분의 1 로 감소했으며 회원조합 수도 1485개에서 1111개로 374개 조합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에 농협 임직원 숫자는 4만 1849명에서 9만 407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5년 사이 농가 소득은 12.3% 늘어났지만 지난해 농가 소득은 오히려 1년 전인 2023년보다 0.5% 감소했고 농가 부채는 8.3% 증가했다.
강명구 의원은 "농협은 본래 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조직이지만 현재 모습은 농민을 위한 농협이 아니라 직원을 위한 농협으로 비춰질 수 있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억대 연봉자 수의 급격한 증가와 과도한 성과급 지급은 농민들에게 박탈감을 줄 수 있고 농협이 설립 취지를 다소 간과하고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며 "앞으로 농협은 임직원의 이익이 아닌 농민의 농가소득 향상에 보다 집중하고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