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X부문장 노태문 사장이 현지시간 4일 독일 베를린 IFA 2025 현장에서 열린 국내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삼성전자 DX(디바이스경험)부문장 노태문 사장이 "2030년까지 모든 업무에 AI(인공지능)를 적용해 AI 드리븐 컴퍼니(AI Driven Company)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DX부문장으로서 처음으로 연 국내 언론 간담회에서 AI를 활용해 사업 전반을 혁신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노 사장은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가 열린 독일 베를린에서 4일(현지시간) 간담회를 열어 "AI가 유례없이 빠르게 모든 산업을 혁신해 가는 이 때, 삼성전자는 AI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근본부터 혁신해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AI 드리븐 컴퍼니'는 AI가 인력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업무 효율성과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AI를 상시적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노 사장은 해당 구상의 두 갈래 큰 방향에 대해 "모든 업무 과정에 생성형 AI와 기술을 적용해 내부 생산성을 높이겠다"며 "또 삼성전자가 제공하고 있는 제품과 기능, 서비스 전체 영역에서 AI를 적용해 새로운 경험과 가능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사장 그러면서 "올해 안에 4억대 이상의 갤럭시 디바이스(기기)에 AI를 탑재하겠다"며 "가전도 전통적 가전의 역할과 기능의 한계를 벗어나 기기별 맞춤형 AI 경험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IFA에서 AI를 전면에 내세웠다. AI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와 가전제품들이 서로 연결돼 사용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기능하는 AI 홈을 구현했다.
노 사장은 삼성전자의 자체 AI 기술 확보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구글 등 파트너사와의 협업과 삼성의 자체 AI 모델 개발을 동시에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AI 전략'을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미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자체 AI 모델인 가우스를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쓰고 있다"고 밝혔다.
AI 로봇 사업과 관련해선 "피지컬 AI를 적용한 로봇을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그쪽 방향으로도 계속 투자를 해서 발전시켜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번 IFA에서는 중국 가전업체들도 AI가 탑재된 제품들을 대거 전시하며 한국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중국 업체들의 성장세에 대한 대응 방향을 묻자 노 사장은 "가장 중요한 건 결국 기술 혁신을 통한 제품의 경쟁력 확보와 경험의 고도화"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 참석한 삼성전자 VD(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용석우 사장도 해당 질문에 "가성비 높은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고, 그런 제품에서도 AI로 차별화 된 경험이 제공된다. 또 가전제품과 모바일 기기가 연결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점도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