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국 임금 체불액 1위 지역은 어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정부, 시·도별 임금체불 현황 첫 공개
임금 체불 총액 1조 3421억 원, 피해 노동자 17만 명 넘어
경기·서울 등 수도권 집중 뚜렷… 업종별로는 제조·건설업 많아
정부 "지자체와 공조 강화… 10월 전국 합동 단속 추진"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서울과 경기도에서의 임금 체불이 전체 체불 금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7일 '2025년 7월 기준 임금 체불 현황'을 발표하며,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체불 규모와 피해 노동자 수를 공개했다. 지역별 체불 임금을 발표하고, 지방정부와 공유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료에 따르면, 전국 임금 체불 총액은 1조 3421억 원, 피해 노동자 수는 약 17만 3천 명에 달한다.

지역별로 경기도가 체불액 3540억 원, 피해자 수 4만 3200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서울시가 체불액 3434억 원, 피해자수 4만 7천 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 두 지역만으로 전체 체불액의 절반 이상(6974억 원, 52.0%)을 차지한다.

이는 수도권에 사업체(경기 25%, 서울 18.8%)와 노동자(경기 24.3%, 서울 22.8%)가 밀집되어 있다는 통계청 자료(2023년 12월 기준)와도 연관이 깊다.

그 외 지역은 최소 39억 원(0.3%)에서 최대 756억 원(5.6%)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체불액이 756억 원이었고, 세종이 39억 원으로 가장 적었다.

업종별 체불 현황은 지역 특성이 반영됐다. 서울은 운수·창고·통신업과 건설업, 제주는 건설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에서 체불이 두드러졌으며,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제조업과 건설업이 체불의 주요 원인 업종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노동부 김유진 노동정책실장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만큼, 체불 문제 해결의 핵심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10월 중 전국 단위의 대규모 체불 합동 단속을 실시하고, 근로감독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기반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노동부는 앞으로 시·도별 체불 현황을 매월 정기적으로 공유하며, 지방정부와 협력을 강화해 체불 예방과 근절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