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전경. 강민정 기자부산시의회가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고,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의 도서 기증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두 개의 조례안을 같은 날 가결했다. 이번 조례안들은 학습 격차 해소와 독서 인문 교육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교육 현장의 지속가능한 선순환 구조를 기대하게 한다.
박중묵 의원, "모든 학생 기초학력 보장" 조례 통과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는 지난 3일 열린 제331회 임시회 조례안 심사에서 박중묵 의원(동래구 제1선거구)이 발의한 「부산광역시교육청 기초학력 보장 지원 조례안」을 원안 가결했다.
박중묵 의원. 부산시의회 제공이 조례는 교육감의 책무를 구체화하고, 교실-학교-지역을 연결하는 3단계 학력 안전망을 구축하는 내용을 담았다.
부산시교육청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은 초등 1070명(1.09%), 중학생 737명(0.93%)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박 의원은 "모든 학생이 최소한의 학습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적인 교육정책의 지향점"이라며, "저소득층·다문화·탈북학생 등 소외 없는 지원과 지역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무길 의원, "공공도서관 도서 기증 활성화" 조례 가결
강무길 의원. 부산시의회 제공같은 날 가결된 강무길 의원(해운대구 제4선거구) 발의「부산광역시교육청 도서관 도서 기증 활성화 조례안」은 개인·단체 기증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기증자 예우 및 포상 조항을 신설했다.
부산시교육청 산하 10개 공공도서관은 매년 평균 21만 권의 도서를 폐기하지만, 그중 약 30%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완전 폐기되고 있다.
강 의원은 "조례 제정을 통해 학생·시민이 소유한 책이 공공 자산으로 전환되고, 도서관의 폐기도서도 재활용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길 기대한다"며 "학교도서관도 장기적으로 폐기도서 활용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