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예비역연대 회원들의 항의를 뒤로한 채 입장을 밝히고 있다. 박종민 기자순직해병 특검팀이 60일의 1차 수사 기간을 마치고 2차전에 돌입한다. 특검팀은 의혹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씨를 향한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해병특검은 지난 30일까지였던 수사 기간을 한 달 연장해 다음달 29일까지 수사를 이어가게 됐다.
해병특검은 그동안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대한 구명 로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도피 의혹 등의 규명에 집중해왔다.
세 갈래 의혹의 출발점인 이른바 'VIP 격노'의 실체가 상당 부분 밝혀진 만큼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왜 격노했고 이후 어떤 후속 지시가 있었는지, 지시가 대통령실을 거쳐 각 부처나 관계기관과 군에 어떻게 전달됐는지를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여러 의혹 중 핵심은 임성근 전 사단장에 대한 구명 로비 의혹이다. 특검팀은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의 경로를 '멋쟁해병' 단체대화방에 모인 해병대 출신 인사와 개신교계 인사 등 크게 두 갈래로 보고 수사 중이다.
특검팀은 또 채상병 사망 사건을 수사한 해병대 수사단·국방부 조사본부에 대해 혐의자 축소 지시를 전달한 경로도 확인 중이다. 이를 위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중간·고위급 간부, 대통령실 비서관 등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 전 장관의 대사 임명 의혹에 대해서는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전 법무부 차관),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등이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이번 주부터는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 대한 긴급구제 신청을 기각한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상임위원 겸 군인권보호관(차관급)의 직권남용 혐의와 관련한 수사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류영주 기자무엇보다 특검팀은 의혹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씨를 향한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의혹은 윤 전 대통령의 격노에서 시작됐고,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에 대해선 김씨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이 수사망에 포착됐기 때문이다.
다만 윤 전 대통령 부부가 다른 특검팀 조사에도 비협조적이었던 만큼 어떻게 이들의 진술을 확보할지도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