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제공정부가 내년도 여성가족부 예산으로 1조 9866억원을 편성했다. 올해 예산보다 11.8% 증가한 액수로, 아이돌봄 지원확대, 한부모 양육부담 완화, 디지털성범죄 대응강화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29일 여가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년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내년도 여가부 총 예산 규모는 1조9866억원으로, 올해 1조777억원과 비교해 2089억원 늘었다.
여가부는 내년 예산안을 △돌봄 확대 및 다양한 가족 지원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지원 △안전하고 성평등한 사회 조성 등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편성했다.
돌봄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가정으로 직접 찾아가는 '아이돌봄서비스' 정부 지원은 기준중위소득 200%에서 250% 이하로 확대된다. 지원 가구 수는 기존 12만 가구에서 12만6천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저소득 한부모가정의 양육부담 완화를 위해 복지급여 소득기준을 기준중위소득 63% 이하에서 65% 이하로 완화하고, 추가아동양육비(월 10만원)와 자녀학용품비(연 10만원),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입소 가구 생활보조금(월 10만원)도 각각 인상된다.
청소년 분야에서는 자살 및 고립·은둔 등 '위기청소년'에 대한 마음건강 증진 사업을 강화하고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고립·은둔 청소년 원스톱 패키지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자살·자해 고위기 청소년에 대한 집중심리클리닉 전문인력을 기존 105명에서 124명으로 늘린다.
청소년복지시설 3개소에 대해 가정 밖 청소년 성장일터사업을 신규 지원하고, 시설을 퇴소하는 청소년에게 지급하는 자립지원수당(월 50만원) 대상을 440명에서 54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도록 노후 국립수련시설과 청소년 이용시설에 대한 안전보강을 대폭 확대하고, 방과후아카데미나 학교밖청소년센터(꿈드림센터) 등 청소년 이용시설의 급식 단가를 5천원에서 6천원으로 인상한다.
성평등·권익보호 분야에서는 디지털성범죄 대응 강화를 위해 관련 예산을 62억4500만원으로 편성했다. 올해보다 17억원가량 늘어난 것이다.
여가부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의 피해자 지원인력을 23명 늘리고, 전문교육을 통해 디지털성범죄 대응 역량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해 '청년세대 성별균형문화 확산 사업'이 추진되며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도 강화된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과정을 지역주도형으로 개편해 지자체 자율성과 책임을 높이고, 경력단절예방 및 경력이음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여가부는 "자녀 돌봄과 양육, 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한편, 폭력 피해자의 조속한 일상 회복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