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가 26일 경기 양주시 옥정호수도서관에서 열린 '양주 공공의료원 설립 현장 설명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경기도 제공경기 북동부 지역에 공공의료원 설립을 추진하는 김동연 경기지사가 양주 공공의료원 설립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26일 '민생경제 현장투어' 세 번째 공식 일정으로 양주 '혁신형 공공의료원' 설립 예정부지를 둘러본 뒤 "경기도 북부 주민들에게 원활한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빠른 시간 내 공공의료원을 설치하겠다"며 "예타 통과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30만 양주시민, 인근 약 100만 명이 공공의료 사각지대에 있다"며 "필요하다면 예타 제도 개선을 건의하고, 더 나아가 예타 면제도 적극 검토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경기 동북부권 공공의료원 설립 추진'은 민선 8기 경기도의 공약사항이다. 양주 혁신형 공공의료원은 양주 옥정신도시 내 종합의료시설 부지(2만6400㎡)에 300병상 이상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경기도는 내년 2월 용역 결과에 따라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2030년 착공,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다만 정부의 예타 문턱을 넘어야 가능하다.
경기북동부 지역은 의료 인프라가 경기 남주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기대 수명은 경기 남부 지역에 비해 낮고,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은 더 높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양주 공공의료원에는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뿐만 아니라 돌봄의 영역까지 역할을 확장해 감염병 위기 대응은 물론 고령화에 대비한 복합 기능을 모두 갖추게 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경찰·소방과 같은 서비스는 공공에서 책임지면서 의료서비스는 선별적으로 또는 소득에 따라 구별되는 불합리한 점이 계속되고 있다"며 "의료 역시 경찰·소방처럼 경제적 효율성의 논리로 접근하기 보다는 공공의 영역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