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 인사' 전한길씨. 연합뉴스국민의힘이 당대표 선출을 위한 첫 합동연설회에서 고성을 지르며 난동을 부린 '극우 인사' 전한길씨에 대해 뒤늦게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징계 절차에 착수했지만 실효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행사장 출입은 막을 수 있어도 전한길씨가 지지세력과 함께 밖에서 위력 시위를 벌이는 것은 제지할 방법이 없는 데다, 중앙윤리위원회의 징계 절차가 길어지고 전씨가 불복 절차를 밟을 경우 '전한길 리스크'는 전당대회 내내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전한길 제재 실효성 의문…'전한길 리스크' 계속된다
국민의힘 여상원 중앙윤리위원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전한길 씨에 대한 징계 관련 회의를 위해 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은 12일 부산 벡스코에서 전당대회 2차 합동연설회를 개최한다. 대구에서 열린 1차 합동연설회에서 난동을 피운 전씨의 행사장 출입은 금지했다.
전씨는 지난 8일 대구 합동연설회에서 누군가로부터 기자들에게만 제공되는 출입 비표를 받고서 행사장으로 들어왔다. 이후 '찬탄(탄핵 찬성)' 후보로 분류되는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 조경태 당대표 후보의 연설 도중 "배신자" 구호를 외치며 지지자들을 선동해 난동을 일으켰다. 이는 결국 지지자들 간의 고성과 욕설, 몸싸움으로 번졌다.
국민의힘은 뒤늦게 전씨에 대한 제재 조치에 나섰다. 우선 전씨에 대한 행사장 출입금지 조치에 이어 질서유지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함인경 대변인은 "선관위 차원의 질서유지권이 있다. 현장에서 너무 소란스럽다면 자리에서 제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 규정이 담긴 공고문을 부착하고, 주의나 경고 등 경중에 따라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당 중앙윤리위원회도 같은 날 전씨에 대한 징계 절차를 개시했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만장일치로 징계 개시를 결정했다"며 "14일 오전 10시 30분에 전씨가 출석한다면 소명을 듣고, 출석하지 않는다면 지금까지 나온 자료를 가지고 징계를 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 (논의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두 조치 모두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일단 전당대회까지 열흘 남은 상황에서 전씨에 대한 징계 조치가 실효성을 가질지 미지수다. 윤리위가 14일 전씨를 불러 소명을 듣고서 그날 곧장 징계를 결정한다고 해도, 전씨가 재심 등 불복 절차를 밟으면 징계 확정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 내내 전한길 리스크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당헌·당규에 따라 징계 사유가 중대하고 명백하면 소명 절차를 생략할 수 있지만, 여 위원장은 "다른 당원이나 징계 대상자보다 불리한 대우를 받으면 안 된다"며 소명 절차를 밟기로 했다.
행사장 출입 금지 조치도 전씨의 과격한 행동을 막기는 어려워 보인다. 전씨가 바깥에서 위력 시위 등 돌발행동을 할 경우 제지할 방법이 딱히 없다는 점이다. 정점식 사무총장은 "그것까지 우리가 제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우리가 대여한 이 부분(행사장)에 대해서는 관리권을 가지고 있는데 행사장 밖 행동을 제지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지도부 늑장대응에 일부 후보들이 리스크 키웠다"
연합뉴스실제로 전씨는 당의 조치에 "언론 탄압"이라며, 부산 합동연설회 현장도 가겠다고 예고했다. 또 김근식 후보에 대한 징계요구서를 당에 제출하기도 했다. 김 후보가 자신을 먼저 도발했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당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의 원인을 '지도부의 늑장대응'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전씨의 과격한 언행과 극우 행보가 이미 여러 차례 논란이 됐음에도 지도부가 사전 차단에 실패했고, 뒤늦게 내놓은 방지책과 징계 절차 역시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전당대회가 '정책·쇄신 경쟁'이 아닌 '강성 결집 경쟁'으로 흐른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 초선 의원은 "당 지도부가 지금까지 미온적으로 대처한 것도 문제지만, 김문수·장동혁 등 당대표 후보들의 책임도 크다"며 "당에서 공식적으로 해당 행위라며 출입 금지시키겠다는 전씨를 옹호하고 있다. 아무리 표심이 다급하더라도 이런 식으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