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동진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장이 17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한경협 CEO 제주하계포럼'에서 '사람을 위한 공간과 Interactive 기술, Robotics'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한경협 제공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이 올해 하반기에 자율주행 기능을 포함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를 출시한다.
17일 현동진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장(상무)은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CEO 제주하계포럼'에서 열린 '사람을 위한 공간과 인터렉티브(Interactive) 기술, Robotics' 주제 강연에서 "로보틱스랩의 두 번째 양산 제품 '모베드(MobED)'를 올해 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로보틱스랩 '모베드(MobeD)'.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차가 출시할 '모베드'는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으로, 외관은 직육면체 납작한 차체에 커다란 바퀴 4개가 달린 모습이다. 각 바퀴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엑센트릭 휠(Eccentric Wheel)을 적용해 불규칙적인 노면 위를 안정적으로 주행하고, 장애물도 능숙하게 극복할 수 있다.
현 상무는 "모베드는 그리퍼(집게형 구조 로봇),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통합 스택을 내장해 다양한 산업과 생활 서비스 영역에 진입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현 상무는 이날 강연에서 로보틱스가 가야 할 방향으로 "쓸만하고 살 수 있는 기술"을 강조했다. 산업 현장에서 퍼포먼스에 초점이 맞춰진 '비싸지만 좋은 기술'이 아닌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고, 품질관리와 유지보수까지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관점이다.
현대차 로보틱스랩 '엑스블(X-ble) 숄더' 현대자동차 제공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차 로보틱스랩의 대표 사례로서 소개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양산된 'X-ble 숄더'는 국내 기술로 글로벌 대비 경쟁력을 확보해 내년 중으로 해외 판매 예정이다. 반면에 완전 마비 환자의 보행을 위해 제작된 현대차 '메디컬 엑소스켈레톤 로보틱 시스템'의 경우 구매 가능한 가격 제시에 실패하면서 시장 출시가 미진한 상황이다.
현대차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직관적인 모빌리티 제공에 집중하면서, 사용자 관점에서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에 중심을 맞추겠다는 방향성을 제시했다. 특히 기존 로보틱스 경험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반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현 상무는 "현대차 자율주행의 전략을 요약하면 다양한 센서(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등)를 통합해 고객 중심의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것"이라면서 "핵심과제는 쓸 만한 가격으로 쓸 만한 수준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편의성으로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사람이 직접 로봇을 조종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동 제어 방식과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매칭을 혼합해 자율주행의 전제조건인 '공간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이렇게 수집된 맵을 기반으로 공간을 구분해 최적 동선을 구성하고, 보행자 등 사람을 인식하고 회피하는 서비스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스마트 자율주행 서비스가 실현되면 현대차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해 따라 로봇이 이동하는 '호출형 자율 셔틀'과 인간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도 작동하는 야간 서비스를 실현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현 상무는 "현대차의 미래 비전은 글로벌 로보틱스 플랫폼 회사"라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모빌리티 회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확장성, 경량화, 기술 통합성 등 중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