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민 기자최근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주택시장 위험도가 3년 내 최고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내놓은 '최근 주택시장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 이후 올해 4월까지 수도권 주택매매 가격은 9.6% 상승했고,서울 지역 상승률은 16.1%까지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 주택매매 가격은 1.7% 떨어졌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금리 인하기 집값 상승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매입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비수도권의 경우 인구 감소와 실물 경기 부진 등의 구조적 주택 수요 둔화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올해 1월 말 시작된 서울지역 주택 가격은 7주 만에 주간 상승률이 0.2%(연율 약 10%)를 기록했고, 서울 강남 일부 지역은 주간 상승률이 0.7%(연율 약 30%)에 달했다.
이에 따라 소득·임대료·전국 아파트 가격 대비 서울 아파트 가격의 격차를 뜻하는 서울 주택시장 위험지수는 올해 1분기 0.90으로, 2022년 1분기(0.99) 이후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장정수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최근 전국 대비 서울 주택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며 "가계부채도 늘어나는 흐름을 고려하면 2분기 서울 주택시장 위험지수가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기준금리 인하 기조 아래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방 압력이 크게 나타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거시건전성 정책의 일관성 있는 추진과 함께 안정적인 주택공급이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