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 한국은행 제공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는 24일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우선 은행을 중심으로 허용하고 점진적으로 비은행 부문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유 부총재는 이날 한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 출범 후 논의가 진행 중인 원화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스테이블코인의 혁신 촉진 가능성과 관련한 도입 취지에 공감하지만,지급·결제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중앙은행으로서는 조금 염려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자본 자유화나 원화 국제화에 대해 가졌던 당국의 기본 입장과 굉장히 다른 방향일 수 있다"면서 "내로우뱅킹(대출 없이 지급기능만 수행하는 제한된 은행) 허용을 포함하는 금융산업 재편 논의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언급했다.
연합뉴스유 부총재는 "금융시장 혼란이나 이용자 피해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안전판을 마련하자는 것"이라면서 "기획재정부나 금융위가 자리를 잡으면 저희 우려와 입장,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의견을 나누고 관계부처와 계속 협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은이 시중은행 6곳과 공동으로 추진해온 '프로젝트 한강'은 1차에 이어 2차 테스트(실험)를 예정대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실험은 은행 예금을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와 연계한 토큰으로 변환한 뒤 실생활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실험이다.
유 부총재는 스테이블코인 법령 등의 논의가 마무리될 때까지 프로젝트 한강 2차 실험도 늦어질 수 있다는 일부 관측에 "꼭 그런 것은 아니고, 2차 실험의 시기와 내용을 은행과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재는 정부·여당이 비은행에도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경우에 대해선 "시장에서 들은 얘기를 바탕으로 (대응 시나리오를) 준비했지만, 일단 논의를 해봐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유 부총재는 또 가계부채 증가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 일부 지역이기는 하지만 주택가격이 빠르게 상승하고 가계부채도 염려되는 상황"이라며 "그동안에도 고려 요소였지만, 더 큰 고려 요소가 됐다"고 말했다.
통화정책과 관련해 "실질 금리가 낮아지는 가운데 중립 금리가 하락을 멈추고 최근 상승하는 모습"이라며 "현재 기준금리는 중립금리 추정 범위의 중간 정도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와 경제 흐름만 보면 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지만, 가계부채,외환시장,금융안정 상황 때문에 금리 인하의 시기와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한은은 오는 27일 국정기획위원회에 업무보고 하는 일정을 협의 중이다.
유 부총재는 "거시경제 현안이나 금융안정·물가안정 상황을 일단 보고할 것"이라며 "스테이블코인 등 여러 현안 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