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청 전경. 전북도 제공전국 최초로 방치된 국유건물을 취약계층을 위한 자활사업장으로 탈바꿈한 사례가 전북에서 이뤄졌다.
전북자치도는 전주와 익산, 임실 등 5개 지역에서 활용되지 않고 남겨진 국유재산을 리모델링해 취약계층이 일할 수 있는 사업장으로 재탄생했다고 18일 밝혔다.
5개 사업장은 전주 금암1파출소와 익산 영등치안센터, 임실 선거관리위원회, 군산 흥남치안센터, 남원 동충치안센터다.
해당 사업장은 식품 가공 또는 문구 제조 시설 등으로 사용된다.
이 사업은 지난해 12월 업무협약을 체결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전북광역자활센터,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전북지부와의 협력으로 추진된다.
캠코는 건축물 등 자산 제공과 개소당 1천만 원의 초기 운영비를 지원한다. 전북도는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자활기관은 사업 운영을 담당하는 구조다.
전북도 황철호 복지여성보건국장은 "단순한 공간 활용을 넘어 공동체 회복의 공간으로 바꾸는 상징적 전환"이라며 "전북형 자활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