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중소기업 3곳 중 2곳 "내년 최저임금 인하 또는 동결해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중소기업중앙회, 1710개사 대상 의견조사
46% "감내 수준 넘으면 감원하거나 채용 줄일 것"

K-BIZ 중소기업중앙회. 연합뉴스K-BIZ 중소기업중앙회. 연합뉴스
중소기업 3곳 중 2곳이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답했다는 내용의 설문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117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최저임금 관련 애로 실태 및 의견조사'에서 응답 중소기업의 66%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최저임금(시간당 1만30원)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중소기업도 전체의 72.6%를 차지했다.

내년도 최저임금 수준에 대해서는 매출 10억원 미만 기업의 75.3%, 종사자 10명 미만 기업의 73%가 동결 또는 인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최저임금 부담이 크다고 답한 것이다. 최저임금을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도 전년 조사때 보다 높아진 22.2%로 집계됐다.

이는 내수 부진 등 경영환경 악화로 한계상황에 처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중기중앙회는 설명했다.

실제 중소기업의 64.1%가 경영 상황이 지난해 보다 악화됐다고 답했다.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고용노동 요인으로는 중소기업의 54%가 최저임금 인상이 꼽혔다. 이어 사회보험료 인상(37.6%)과 구인난(29.7%) 등이 뒤를 이었다.

최저임금이 감내 수준을 넘어 인상될 경우 대응 방안을 묻자 중소기업의 45.8%가 '인력 감원' 또는 '신규 채용 축소'를 선택하겠다고 답했다. 기존 인력을 줄이겠다는 응답 비율도 지난해(6.8%)보다 크게 늘어난 23.2%였다.

시급한 최저임금제도 개선사항으로는 중소기업의 33.2%가 '일부 취약 업종에 대한 차등적용'을 1순위로 꼽았고 31.8%는 결정 주기를 현행 1년에서 2년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매출 10억원 미만 기업의 38.8%, 종사자 1~9명 기업의 37.2%가 차등적용 필요성을 제기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이런 요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