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24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3만4천167곳)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은 40.9%로 집계됐다.
전년(39.0%)보다 1.9%포인트(p) 높은 수치이고, 2013년 관련 통계가 편제된 이후 최고치다.
영업적자를 내 이자보상비율이 0%를 밑돈 기업 비중은 28.3%로, 2023년(27.0%)보다 1.3%p 높아져 201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기업들의 이자보상비율은 298.9%로, 2023년(221.1%)보다 높아졌다.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모두 개선됐다.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은 2023년 -2.0%에서 지난해 4.2%로 높아졌다.대기업(-2.8→4.4%)과 중소기업(1.4→3.2%)의 매출액 증가율이 모두 상승했다.
수익성 지표의 경우, 지난해 기업들의 영업이익률(5.4%)과 세전순이익률(5.2%)은 2023년의 3.8%, 4.5%와 비교해 모두 상승했다.
대기업(3.6→5.6%,4.8→5.7%)은 영업이익률과 세전순이익률이 올랐지만, 중소기업(4.8→4.6%, 3.4→3.0%)은 내렸다.
기업들의 부채 비율은 지난해 101.9%로, 2023년(102.0%)보다 하락했다.
정영호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대기업 중심으로 지표가 좋아졌지만, 개별적으로 보면 중소기업 영업이익 증가율이 낮아졌다"며 "전체 기업 중 중소기업이 83% 정도로 많고, 그중 비제조업이 많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