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의성 화재 닷새째 '피해 확산'…사망자 속출하고, 유물도 소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영양, 청송, 안동 등서 사망자 9명 발생
천년고찰 고운사 등 물적 피해도 확산

꺼지지 않는 불길. 연합뉴스꺼지지 않는 불길. 연합뉴스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인근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사망자와 부상자, 실종자 등 피해가 속출했다.

26일 경찰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산불이 휩쓸고 간 현장에서 발견된 사망자는 모두 9명이다.

의성군에서 퍼진 불씨가 비화해 산불이 확산하고 있는 영양군 석보면에서는 전날 오후 11시쯤 도로 등에서 일행 등으로 추정되는 불에 탄 남녀 시신 4구가 발견됐다. 또 60대 남성 1명이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사망자 가운데 50·60대 남녀 3명과 화상을 입은 남성 1명은 일가족으로 함께 차를 타고 대피하다가 전복 사고를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사상자 발생 원인에 대해 "산불 피해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같은 날 주왕산국립공원 등에 불씨가 날아든 청송군에서는 70·80대 노인 2명이 자택 등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청송읍 한 외곽에서도 불에 탄 60대 여성 시신이 발견됐다.

또 가족들과 함께 트럭을 타고 대피하던 70대 여성은 교통사고로 갈비뼈 등을 다치는 중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고, 진보면에서는 치매를 앓는 80대 여성 1명이 실종됐다.

대형 산불이 발생한 의성과 접한 까닭에 가장 먼저 산불이 번진 안동에서도 현재까지 임하면과 임동면 2곳에 있는 주택 마당에서 각각 50대와 70대 여성이 숨진 채로 쓰러져 있는 것을 가족 등이 발견했다. 사고 현장에서는 사망한 50대 여성의 남편도 상처를 입은 채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다.

산불 확산과 함께 사망자나 부상자 등도 덩달아 급격히 늘자 당국의 체계적인지 못한 주민대피 조치가 화를 키운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2일 인근 도시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음에도 순차적으로 위험지역 주민들을 미리 대피시키지 않고 사태가 임박해서야 전 주민에게 한꺼번에 대피 명령을 동시에 발송해 피란행렬로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상황을 만드는 등 사전 조치가 미흡했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산불 피해를 본 지역 주민 다수가 고령인 점을 감안할 때 대피 문자를 받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고, 차를 몰고 나오더라도 컴컴한 야간에 도깨비불처럼 날아드는 불씨를 피해 산불 현장을 안전하게 빠져나오는 게 쉽지 않았을 상황을 간과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사망자나 부상자 등은 더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인명 피해와 함께 물적 피해도 확산하고 있다.

전날 오후 오후 4시 50분쯤에는 경북 지역을 대표하는 천년고찰인 의성 고운사가 전소됐다. 이 과정에서 고운사의 국가유산 보물인 목조건축물 '가운루'와 '연수전'도 모두 불에 탄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국가유산 명승인 안동 만휴정 원림과 강원 정선 명승인 백운산 칠족령, 천연기념물 울산 울주 목도 상록수림 등 국가유산 5건도 피해를 입었다.

국가유산청은 전날 오후 5시 30분 기준으로 전국의 국가유산 재난 국가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발령하고 피해 지역에 있는 주요 유물을 안전 지역으로 옮기고 있다.

1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