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에 기록된 계엄군의 선관위 시스템서버 촬영 모습.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이 12·3 내란 사태 당시 국방부 사이버작전사령부(사이버사)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13일 제기했다.
민주당 '윤석열 내란 진상조사단'(추미애 단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 3일 오전 9시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과 조원희 사이버사 사령관이 약 10분 정도 통화하며 사이버사 해킹 부대 '900연구소' 동원을 논의했다는 제보 내용을 공개했다.
조사단은 이들이 통화에서 계엄군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서버를 확보하고 나면 이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 논의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 사령관은 해당 통화 기록과 관련해 검찰 특별수사본부에서 참고인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단은 지난 5월 사이버사 지휘관이 기존 해군 출신인 이동길 사령관에서 육사 출신인 조 사령관으로 바뀐 점에 대해서도 "보직 6개월 만에 교체돼 통상 1~2년 임기를 감안하면 이례적인 인사"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조 사령관은 평소 여 전 방첩사령관과 친분을 과시했고 김용현 전 국방장관과는 김 전 장관이 합참 작전본부장 시절 작전본부 중령으로 근무한 인연이 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조사단은 사이버사가 지난 8월 을지연습 훈련에서 새롭게 실시한 '북 거점 초토화 훈련'과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장악 훈련' 등이 비상계엄을 대비한 훈련이 아니냐고 의심했다.
이와 관련해 "예전 정치 댓글 사건에 연루된 바 있는 사이버사 1작전단(심리전단)에서는 '북 거점 초토화' 훈련으로 불순한 IP 역추적하는 훈련을 진행했다고 한다"며 "'SNS 장악' 훈련은 유튜브, 페이스북, 텔레그램 등에서 반국가세력 관리자 그룹을 장악해 그 권한을 획득하는 훈련이라고 한다"고 부연했다.
조사단은 "12·3 윤석열 내란 사건에 군의 전방위적인 개입 정황이 나오고 있다"며 "공조수사본부는 즉각 사이버사의 내란 개입 의혹에 대해 철저한 수사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