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이미지 제공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인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일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해 수면무호흡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을 당부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발생 환자는 2018년 4만5076명에서 2023년 15만3802명으로 약 3배 증가했다.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수면무호흡증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수면 중 호흡 중단, 주간 졸림증, 집중력 저하, 코골이 등이 있다.
이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장정지 발생원인 및 위험요인 규명 추적조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했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혈관질환이 없는 젊은 연령층에서 수면무호흡증이 급성심장정지의 위험한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은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원인인 당뇨나 고혈압보다 낮지만, 흡연이나 비만보다 높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서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 그 위험성을 인식하고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관리를 통해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