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네이버 여행자보험 비교에 삼성화재가 빠진 까닭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연합뉴스연합뉴스
네이버가 18일 출시하는 여행자보험 비교추천 서비스에서 삼성생명 등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상품은 일단 볼 수 없게 됐다. 업체들 사이 수수료 합의가 결렬되면서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출시하는 해외여행자보험 비교·추천 서비스는 메리츠·한화·하나·캐롯·롯데·NH손해보험 등 6개사가 참여한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를 비롯해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형 손보사들이 네이버가 요구해온 수수료율을 수용하지 않으면서다.

앞서 금융당국이 발표한 플랫폼의 보험상품 취급 시범운영 세부 방안에 따르면, 해외여행자보험 같은 단기보험에 대해서는 수수료 수준을 대면 모집 수수료 대비 33% 이내로 제한한다.

대형사들은 한도 규제 범위에서 최고 수수료율인 33%가량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네이버는 보험사들에 매출액의 9% 수준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형사들이 제시한 모집수수료의 33%는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매출액의 약 5~7% 정도로 알려졌다.

보험사가 플랫폼에 내는 수수료가 많아질수록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 증가에 따른 부가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여행자보험 시장을 둘러싼 플랫폼 간 경쟁도 높은 수수료의 배경으로 꼽힌다. 카카오 계열의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이 해외여행보험 출시 10개월 만에 가입자 100만명을 돌파하면서 흥행하자, 네이버는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들었다.

카카오페이손보가 '무사고 환급 서비스'로 인기를 끌면서, 네이버는 보험료 10%를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페이백 등 프로모션을 적극 전개했고 이 과정에서 보험사 수수료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아무래도 해외여행을 할 경우 네이버 같은 플랫폼을 통해 각종 예약을 하는 경우가 많고, 네이버를 통한 여행자보험 가입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대형 손보사들이 네이버와 계속 대화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