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만은 막아야 한다…국민의힘 전대 개봉박두[뉴스뒷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편집자 주

수요일 오후 2시, CBS 유튜브 채널 'CBS 2시 라이브'에서는 '뉴스뒷담'이 생방송됩니다. 현장을 뛰는 민완 기자들이 뉴스에서 다루기 애매하지만 맥락을 이해하는데 소중한 날 것의 정보들, 드러난 정보를 뒷받침하는 수면 아래 뒷담들, 유쾌한 입담으로 풀어냅니다. 해당 녹취는 19일 방송 내용의 일부로, 전체 내용은 유튜브채널 'CBS 2시 라이브'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채널 'CBS 2시라이브'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 진행 : 김광일 기자
■ 대담 : 이준규 기자, 이정주 기자


출사표 던진 한동훈…나경원‧원희룡‧윤상현 거물급 참전

▶김광일> 기자들과 함께 뉴스의 현장을 가감 없이 전달합니다. 뉴스뒷담 시작할게요. 저는 CBS 기자 김광일이고요, 윤지나 기자의 휴가로 대신 오늘 진행하게 됐습니다. 오늘은 뉴스뒷담 터줏대감 질문하는 기자 이정주 기자, CBS의 민주당 취재를 이끌고 있는 야당 반장 이준규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이야기 먼저 해볼게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과 나머지 후보들의 대결 구도일까요.

▶이정주> 지금 그렇죠, 그러니까 '한 전 위원장만큼은 안 된다'는 것, 이런 의중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너무 강하게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러다 보니 지금 음모론까지 나오죠. 한 전 위원장 출마 선언 하는 날에 이슈를 덮기 위해서 동해 석유 매장 이슈 같은 걸 하나 터뜨릴 수 있다는 뭐 그런 음모론도 나오기 시작합니다.

▶김광일> 이슈를 이슈로 덮는다는 그런 거죠. 기자들이 지금 제일 많이 관심을 갖는 부분은 (한 전 위원장이 런닝메이트로) 누구랑 같이 하냐 이게 지금 취재가 많이 들어가는 부분들인 것 같아요. 일단 구분해 본다면 실무 그룹을 누구랑 같이 하냐 그리고 최고위원 런닝메이트를 누구랑 같이 하냐 이건데 좀 파악이 된 게 있습니까?

▶이정주> 그러니까 이게 한 전 위원장의 측근들을 말하는 건데, 사실 경우의 수가 몇 명 없어요. 친한계 의원이라고 해봤자 지금 장동혁 대변인 그리고 부산 진갑에서 당선된 정성국 의원 등이 거론되죠.

▶김광일> 한 전 위원장의 영입 인재 1호 정 의원. 보통 런닝메이트는 후보자 본인이랑 같은 색깔로 안 하죠. 이를 테면 당 대표 후보가 영남권 후보라면, 런닝메이트는 수도권 후보랑 같이 한다든지.

▶이준규> 굉장히 젊어 보이려고, 기성 정치권하고 달라 보이려고 차별화를 하려고 하는데 그 이미지가 겹치게 될 테니까요.

▶이정주> 그래서 (한 전 위원장에겐) 조금 중후하고 관록 있는 사람이 필요하죠. 그런데 측근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대부분 정치 경력이 짧아서 이건 지금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어요.

CBS 2시 라이브 뉴스뒷담CBS 2시 라이브 뉴스뒷담

언론 겨냥한 이재명 '애완견' 발언, 의도적?…효과 있었나

▶김광일> 더불어민주당 얘기도 이번 주에 사실 우리가 그냥 넘어갈 수 없어요. 해야 될 얘기가 정말 많은데, 핵심만 하면 특히 이재명 대표의 '애완견' 발언. 일단 취재 일선에 계시는 민주당 출입 기자로서 이준규 기자의 주변 기자들 반응은 어땠습니까?

▶이준규> 사실 황당하다는 거죠. 이게 기자라는 게 어떤 일이냐, 결국 다른 사람들이나 단체 기관 제보를 받기도 하지만 우리가 접촉점을 가지고 있는 모든 영역 이런 것에서 발생한 사건들이나 아니면 여러 가지 발표 내용이라든지 등 저희가 먼저 받아보고 그러죠. 이게 특권이나 특혜 이런 게 아니라 저희가 그런 역할을 하잖아요. 더 많은 분들에게 알려드리는 역할. 그걸 통해서 입장을 다 반영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거죠. 예를 들어 통계청에서 물가 상승률이나 출산율 발표를 한다면 숫자가 많아요. 일단은 그 자료들에 대해 막 이거 따지고 그게 아니라 공인된 기관에서 발표를 하는 그런 부분들이 있으니까 저희가 받아서 '내용이 이렇구나'라고 분석을 해서 드리죠.

▶김광일> 기자들이 하는 일 중에 이제 크게 기사를 한두 가지 정도를 분류하면 스트레이트, 박스 이렇게 나누죠. 일단 기본적으로 출입처에서 제공되는 혹은 우리가 취재한 정보 1차적인 정보를 갖고 기사를 쓰는 스트레이트가 가장 첫 번째 역할이고, 그 다음에 이걸 갖고 우리가 해석하거나 추가적으로 취재하거나 아니면 어떨 때는 지적을 하거나 이 두 번째 기사를 쓰게 되는 거죠. 근데 이 첫 번째 스트레이트 기사를 쓰는 영역에 대해서 그 문제를 삼으면 다소 난감하다라는 말씀인 것 같네요.

▶이준규> 민주당의 오늘 오전 최고위원회의 발언만 해도, 이 대표가 민주당이라는 공당의 대표니까 당에서 나오는 메시지들 정책위 의장이 하거나 원내대표가 하거나 온갖 상임위에서 상임위원장 등 의원들이 헌법기관이니까 믿고 그들의 발언을 쓰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걸 어떻게 하나 하나 다 그 자리에서 걸러냅니까. 근데 이건 제가 말씀드리기가 좀 조심스러운 게 또 하나의 화제 거리나 논란거리가 될 수 있어서 제가 발언을 많이 하지 않겠습니다.

▶이정주> 저는 이렇게 들었어요.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이 대표가 이런 식으로 발언해주면 땡큐다' '이 대표 덕분에 우리가 산다' 등 이렇게 말을 합니다. 그 관계자 말이 실질적으로만 보면 언론에 대한 압박성 행위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강해졌다는 겁니다. 과거 '바이든, 날리면' 논란부터 시작해서, 언론 자유 지수가 내려가거나, 기자 개인이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이런 것들요. 그런데 국민의힘 그 관계자 하는 말이 이 대표의 애완견 이런 발언 한마디로 (여야 모두) 그냥 비슷해지는 효과가 나온다는 거죠.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