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 문제 있지만…" 집단 휴진 D-DAY 의사들 속내는[르포]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의사 총궐기대회' 참석 의사 단속 예고에 '오후 휴진' 꼼수
경인 지역 휴진 신고율 2%…개원의 휴진 '미미'
개원의 "막무가내 의대 정원 증원 문제있지만…휴진 영향력 고려"
대형병원 대부분 '정상 진료'…일부 진료과 '당일 휴진' 공지에 혼란도

18일 경기 수원시의 한 개원의 출입문 옆에 휴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박창주 기자18일 경기 수원시의 한 개원의 출입문 옆에 휴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박창주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집단 휴진에 돌입한 18일 오전 9시 반쯤, 경기 화성시 동탄신도시의 한 동네 의원. 진료를 기다리는 환자 서너 명 정도가 소파에 앉아 있을 뿐 대체로 한산한 분위기였다.

 

'의사 총궐기대회' 참석 의사 단속 예고에 '오후 휴진' 꼼수


의협 소속인 원장 A씨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에서 열리는 '전국의사 총궐기대회'에 참여하지만 오전에는 평소대로 병원 문을 열었다. 다만 환자들에게 오후 휴진 안내를 하거나 지자체에 사전 신고를 하진 않았다.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을 어겨 적발될 경우 불이익이 우려돼 '반쪽' 휴진을 선택한 것.
 
A씨는 "저처럼 오전만 진료를 보거나 휴진 신고를 하지 않은 병원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며 "공식 집계된 휴진율보다 실제로는 더 많은 의원들이 휴진,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18일 정상 진료 중인 수원시 팔달구의 한 이비인후과. 박창주 기자18일 정상 진료 중인 수원시 팔달구의 한 이비인후과. 박창주 기자 

경인 지역 휴진 신고율 2%…개원의 휴진 '미미'


이날 경기도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두 광역지자체에서 집계된 개원의 휴진 신고율은 2%대다. 경기도 총 개원 의원 8204곳 가운데 사전에 휴진신고를 한 병원은 238곳으로 2.9% 수준이다. 인천시도 전체 의원급 병원 1796곳 중 46곳만 휴진신고를 해 휴진율은 2.56%에 그쳤다.
 
실제로 수원시 내 개원의들이 몰려 있는 인계동 일대 대부분 병원들은 정상 진료 중이었다. 단 일부 의원은 당일 휴무 공지를 올려 환자들이 발걸음을 돌리는 등 혼란을 겪기도 했다.
 
수원시청 인근의 B의원 출입문에는 정기휴무 안내문 옆에 '6월 18일 휴진 안내'라는 붉은 글씨가 적힌 A4용지가 붙어 있었다. 하지만 병원 소속 간호사들은 모두 출근한 상태였다.
 
한 간호사는 "휴진인 걸 모르고 조금 전에 환자 한 분이 그냥 돌아가시기는 했다"며 "원장님이 개인 사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을 뿐 파업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했다.
 
인근에 있는 한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은 30대 주부는 "사전에 확인하고 와서 휴진 우려는 안했다"면서도 "애 키우는 입장에서 의사들 파업은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애가 아프면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고 따졌다.

 

개원의 "막무가내 의대 정원 증원 문제있지만…휴진 영향력 고려"


개원의들의 파업 참여가 저조한 건 '휴진 효과'가 거의 없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인천의 한 개원의 B씨는 "당장 휴진하면 일부 시민들이 불편할 수 있겠지만 동네병원 속성상 생명을 오가는 일이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며 "오히려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 속한 전공의들의 휴진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B씨는 "그렇다고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기조에 동조하는 건 아니다"라며 "국민들 입장에서는 별일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 의사 입장에서는 대책도 없이 막무가내로 추진하는 정부에게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18일 경기 수원 아주대학교 병원의 한 진료과 접수대에 휴진 안내판이 설치된 모습. 정성욱 기자18일 경기 수원 아주대학교 병원의 한 진료과 접수대에 휴진 안내판이 설치된 모습. 정성욱 기자

대형병원 대부분 '정상 진료'…일부 진료과 '당일 휴진' 공지에 혼란도


개인병원에 비해 인력이 많은 대형병원에서는 휴진으로 인한 큰 혼란은 없었다. 경기도 내 대부분 대형병원들이 정상 진료를 하고 있으며, 인천 역시 길병원, 인하대학교 병원, 국제성모병원 등 대형병원 모두 '정상 진료' 중이다.
 
전국 8개 병원이 소속된 가톨릭의대 병원의 경우 모두 집단 휴진을 예고했지만 전날 각 병원별로 휴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수원 성빈센트병원, 부천성모병원, 인천성모병원 등 경인지역 병원들은 일부 휴가를 낸 의사들을 제외하고 정상 진료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수원 아주대학교 병원은 이날 의대 교수 107명 중 17명이 파업에 참여하며 휴진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 진료과에서는 평상시 수준으로 환자를 진료했다. 교수 3명이 파업으로 휴진한 진료과를 찾은 70대 환자는 "예전에 예약해둔 날짜로 오늘 진료를 받으러 왔고, 별다른 문제 없이 받았다"고 말했다. 병원 관계자 역시 "오늘 진료를 못 받고 돌아간 환자는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 진료과에서는 전체 교수 4명 중 3명이 파업·휴진하고 나머지 1명마저 기존에 예정됐던 일반휴진에 들어가면서 외래진료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진찰실 2곳은 모두 불이 꺼져 있었고, 접수창구에는 '휴진 안내' 알림판이 올려져 있었다. 병원 관계자는 "오늘 (우리 과는) 전체 휴진이다. 우리도 오늘 아침에 전달받아서 자세한 이유는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아주대병원 관계자는 "휴진에 참여한 교수 현황은 정확히 파악은 안 된다"라며 "내일 전체 휴진이 예정된 진료과는 없다"고 밝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