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무용단 '묵향' 10주년 공연…'정구호 스타일' 시작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립무용단 '묵향'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서 12월 14일부터 17일까지

국립무용단 제공 국립무용단 제공 국립무용단 대표 레퍼토리 '묵향'이 오는 14일부터 17일까지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2013년 초연 이후 10년간 10개국에서 43회 공연하며 무용 한류의 시작을 알린 작품이다. 국내 관객을 찾는 건 4년 만이다.

'묵향'은 정갈한 선비정신을 사군자를 상징하는 매·난·국·죽에 담아 한 폭의 수묵화처럼 펼쳐냈다. 윤성주 전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이 고(故) 최현의 '군자무'에서 영감받아 안무했다.

화선지 같은 하얀 무대 위에서 무용수들은 먹을 새기고 난초를 치는 선비, 얼어붙은 겨울 끝에 홀연히 피어나는 매화, 가을 들판을 금빛으로 수놓는 국화, 호방한 기개를 간직한 대나무를 춤사위로 표현하며 한국의 사계절을 그려낸다.

윤성주 안무가는 "작품의 핵심은 쉴 새 없이 이어지는 길고 짧은 호흡, 치맛자락 아래로 언뜻 스치듯 보이는 내밀한 버선발의 움직임"이라며 "디테일한 움직임의 자취에서 한국춤 고유의 색과 향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우아한 산조와 정가 선율에 맞춰 화폭 위로 번지는 먹과 같은 무용수들의 유려한 춤사위를 따라가다 보면 과거 선비들의 멋과 여유를 만날 수 있다.

연출은 패션·공연·영화·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전통을 재해석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구호가 맡았다. 정구호 연출은 '묵향'을 비롯 '향연' '산조' '일무'까지 우리 춤이 지닌 아름다움을 새롭게 제시하며 무용계 안팎에 반향을 가져온 인물이다.

'묵향'의 무대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네 조각 화이트 스크린이 무대를 감싸고 각 장을 대표하는 색 분홍, 초록, 노랑, 흑과 백이 스크린과 바닥을 천천히 물들인다. 또한 달항아리처럼 봉긋하게 부푼 치맛자락은 짧은 저고리와 균형을 이루고 리듬감 있게 흔들리는 치마폭 아래로 살짝 보이는 버선코가 춤의 맛을 한층 살린다.

정구호 연출은 "국립무용단의 귀중한 자산인 전통춤 혹은 한국춤이 지닌 무한한 깊이와 품격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며 "한국춤의 뿌리와 핵심을 추출해 현대적으로 표현했기에 가장 진화된 전통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0주년을 기념해 국립무용단 전원이 팀을 나눠 출연하고 재개관한 해오름극장에 맞춰 업그레이드된 영상으로 관객을 찾는다.

오는 17일 공연 종료 후에는 제작진·출연진과 관객과의 대화가 열린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