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초저출생:미래가 없다birth.nocutnews.co.kr

늙어가는 대한민국…평균 연령 44.2세로 1년새 0.5세 높아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2022년 주민등록인구 5143만 9천 명으로 전년보다 20만 명 줄어
1인 세대 972만 4천 세대…1천만 세대 돌파 목전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51세(71년생) 93만명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주민등록 인구가 3년 연속 감소하고 1년 사이 평균 연령이 0.5세 높아지는 등 대한민국의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22일 발간한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최근 인구는 계속 감소 추세인 반면 도시화 고령화에 따라 세대 수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는 5143만 9038명으로 전년도보다 19만 9771명이 줄었다.

2020년 5183만 명부터 3년 연속해 인구 감소추세가 이어진 것이다.

주민등록 인구 평균연령은 44.2세였다. 전년 43.7세에 비해 1년새 0.5세 높아지는 등 고령화 현상이 빨라지고 있다.

남성 평균 나이는 43.1세, 여성은 45.3세로 여성이 2.2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51세(1971년생)로 93만911명이었다.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주민등록세대는 2370만 5814세대로 전년도보다 23만 2919세대 0.99% 증가했다.

이 가운데 1인 세대가 972만 4256세대로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혼자 사는 1인 세대가 꾸준히 늘어 1천만 세대 돌파를 목전에 두면서 인구 감소에도 전체 세대 수가 늘고 있는 것이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1인 세대를 연령대별로 보면 70대 이상이 19.1%(185만 5150세대), 60대 18.1%(175만 8095세대) 순으로 나타났다.

또 1인 세대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보면 20대 2.7%, 30대 3.8%, 60대 4.3%, 70대 이상 5.4%로 나타나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1인 세대가 증가하는 추세다.

한편 통계연보에 따르면 디지털 정부 분야에서 전자증명서 및 정부24 이용자가 대폭 늘어나는 등 디지털정부가 국민 일상을 바꾸고 있다.

2022년 전자증명서 활용 실적은 809만9791건으로 전년에 비해 281% 급증했다.

전자문서지갑 발급 건수도 462만 3244건으로 145% 늘었다. 정부24 총 이용건수는 3억9천여만 건으로 전년 대비 7.1% 늘었고 공공데이터 이용 건수도 40.9%나 증가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취급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