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EN:터뷰]김용화 감독의 도전은 멈추지 않는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영화 '더 문' 김용화 감독 <에필로그>
그가 그리는 한국형 SF의 길

영화 '더 문' 김용화 감독. CJ ENM 제공영화 '더 문' 김용화 감독. CJ ENM 제공※ 스포일러 주의
 
세계적인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기업 넷플릭스가 시작한 흐름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맞물려 관객들을 극장이 아닌 집으로 돌렸다. 사람들은 이른바 '극장용 영화'와 'OTT용 영화'를 구분 짓기 시작했고, 전 세계 영화계는 어떻게 하면 관객들의 발걸음을 다시 극장으로 돌릴 수 있을까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민, 즉 관객이 극장을 찾아야 하는 이유를 일찌감치 고민한 게 김용화 감독이다.
 
야구하는 고릴라 링링의 이야기를 그린 '미스터 고'(2013)를 만들기 위해 2011년 덱스터 디지털(現 덱스터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할리우드의 기술력이 압도적인 VFX(시각효과) 시장에 뛰어든 건, 김 감독의 표현을 빌리자면 자신을 낭떠러지에 세운 것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도전'이었다. 이 모든 건 관객이 극장을 찾을 수 있는 '이유'를 만들기 위함이었다.
 
그런 그의 선택은 틀리지 않았다. 덱스터는 명실상부 최고의 VFX 스튜디오가 됐고, 그는 '신과함께' 시리즈에 이어 '더 문'이라는 도전을 이어올 수 있었다. 그래서 물었다. 그가 그리는 한국형 SF의 미래는 어떤 길인지 그리고 무엇이 자신을 끊임없이 도전으로 내모는지 말이다.

영화 '더 문' 스틸컷. CJ ENM 제공영화 '더 문' 스틸컷. CJ ENM 제공 

한국형 SF에 대한 고민

 
▷ 천문학자인 심채경 박사는 '더 문'을 보고 "우주에서 우주선이나 우주 비행사가 움직이는 모습들이 낯설지 않았고, 다큐멘터리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우주선 연구 개발, 달 탐사 연구 전문가들을 초청해 시사회를 열었는데 당시 반응이 어땠나?
 
너무 행복하고 감격해하셨다. 다들 우시고…. 내가 너무 기뻤다. 감사하다는 말을 너무 많이 해주셨다. 뭐랄까, 회한도 너무 많으셨던 거 같다. 영화가 어쨌든 극화해야 하는데, 극화한 장면에서도 크게 이물감 없이 잘 받아들이시고 되게 재밌게 보신 것 같다. 박사님들 모신 메인 관에 가서 인사드리는데, 살아서 그렇게 큰 박수를 받아본 건 처음이었다.
 
▷ 나 역시 '더 문'을 보면서 못다 이룬 한국의 우주 진출의 꿈을 대신 이뤄준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마음으로 했다. 그분들의 활동과 현재 받는 처우, 향후 지원까지 살펴본 결과 이 영화가 나와서 우주 항공 산업 분야가 조금이라도 관심받길 원했다. 지금 갈 곳은 우주밖에 없다. 달에는 어마어마한 자원이 매장돼 있다. 기착지로서의 효용을 떠나서 달 패권 때문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거다.
 
▷ '더 문'에서 감독에게 가장 도전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게 있다면 무엇이었는지 궁금하다.
 
불호가 많은 장르적인 벽을 깰 수 있냐 없냐였다. 그러려면 영화 스토리도 좋아야 하고 감정도 좋아야 하고 비주얼은 말할 것도 없이 좋아야 한다.
 
▷ 보통 SF영화라고 하면 할리우드 SF와의 비교를 많이 한다. 그러나 시장의 규모라든지 기술력을 생각한다면 사실 할리우드의 것을 그대로 따라가기 어렵다고 본다. 또 그럴 수도 없다면 할리우드와는 다른 한국만의 SF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형 SF'의 청사진을 제시한 '더 문'의 감독으로서 '한국형 SF'란 무엇이라 생각하나?
 
먼 미래를 안 갖고 왔으면 좋겠다. 현실 가능한 이야기, 봤을 때 저런 일이 벌어질 수도 있겠구나 하는 어느 정도 현실 바닥 발을 붙인 이야기이면 조금 더 장르적인 저변이 넓어지지 않을까. 스페이스 오페라의 경우는 진입장벽이 두텁다. 아직 '더 문'이 관객분들과 만나지 않아 결과를 알 수 없지만, 지금 벌어져도 크게 무리 없는 이야기를 시도해 보면 좋지 않을까.

영화 '미스터 고'와 '신과함께' 시리즈 스틸컷. ㈜쇼박스·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영화 '미스터 고'와 '신과함께' 시리즈 스틸컷. ㈜쇼박스·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끝나지 않은 김용화 감독의 도전

 
▷ '미녀는 괴로워' '미스터 고' '신과함께' 시리즈 등을 통해 전신 특수 분장, 풀(full) 3D 리그 카메라 촬영, CG 등 기술의 한계를 넘고 한국 영화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도전을 이어오고 있다. 무엇이 계속해서 도전으로 이끄는지 궁금하다.
 
내가 그런 걸 거창하게 말할 수는 없다고 본다. 그냥 운명인 거 같다. 운명처럼 타성에 젖을 만한 시기에 당대 최고의 슈퍼바이저가 몰려와서 미국엔 제임스 카메론이 있고 피터 잭슨의 웨타 디지털이 있고, 조지 루카스의 ILM이 있는데 한국에서 감독님이 그런 역할을 해줄 수 있냐. 그렇다면 모이겠다. 그것도 운명인 거 같다.
 
그리고 하다 보니 나도 계속 똑같은 영화를 보고 싶지 않은 거다. 나에게 이런 기회비용이 주어졌을 때 난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안전한 삶이 있을까? 없다. 그럼 똑같은 기회비용이 주어졌다고 하면 나를 더 낭떠러지로 세우는 게 안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다. 뭔가 소기의 성과는 있을 테니까. 덱스터처럼.(*참고: 김용화 감독은 '미스터 고' 제작을 위해 지난 2011년 덱스터 스튜디오의 전신인 덱스터 디지털을 설립했다.)
 
▷ '더 문'에 도전하며 얻은 즐거움은 무엇이었나?
 
그게(위 답변 참고) 고통이라고 치면, 얻을 수 있는 모든 게 장벽이다. 안 해봤어도. 두렵고. 그런 것들이 하나씩 이뤄질 때는 돈으로 살 수 없는 쾌감이 있다.
 
▷ '더 문'을 통해 앞으로 풀어보고 싶은 과제가 생겼을지 궁금하다.
 
일단 나보다 훨씬 더 드라마라든지 이야기를 잘하고 연기도 잘 디렉팅하는 감독님이 많이 계시니까, 또 다른 사명이 있다고 하면 그런 분들이 좀 더 외연을 넓힐 수 있는 장르를 계속 시도해 봐야 하지 않을까. 단, 관객들이 사랑할 수 있는 영화로.
 
▷ 이제는 영화를 통해 여전히 극장이 살아있고 계속되어야 함을 보다 더 부단하게 증명해야 하는 것 같다. 감독이 생각하는 극장의 의미란 무엇이며, 또 감독으로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영화적 체험'이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이야기 듣고 싶다.
 
'더 문'으로 집약해서 말할 수 있을 거 같다. 흔히들 요새는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플랫폼이 너무나 활성화됐기 때문에 집에서 편하게 즐길 수 있을 정도의 규모와 드라마를 너무 잘 만든다. 굳이 극장 영화를 만들 필요가 없다고 하는데, 이걸 전기로 삼아야 한다.
 
이럴 때일수록 조금 더 극장에서 체험하는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 물론 감정과 스토리도 중요하고, 그 위에 극장에서만 압도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체험형'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새로운 공간일 수도 있고 플롯일 수도 있겠지만, 그런 생각이 없으면 우리는 우리 무덤을 계속 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끝>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