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이미지 제공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한국에서 값비싼 프로포즈가 유행하고 있다며 '청혼 허례허식'을 조명했다.
WSJ은 15일(현지시간) 1면 하단에 '결혼 전 비싼 장애물 : 4500달러짜리(약 572만원) 청혼'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의 청혼 문화를 다뤘다.
WSJ는 "한국에서는 하루 숙박비가 100만 원이 넘는 고급 호텔에서 명품 가방과 반지 등을 선물하는 행위가 일반적인 프러포즈 방식으로 자리잡혔다"며 직장인 오모 씨의 사례를 소개했다.
오 씨는 "남자친구가 청혼을 위해 하루에 숙박비만 150만 원을 썼다"면서 "누구나 호텔 프로포즈를 선호하고 모든 여성의 꿈"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직장인 하모 씨는 최근 프로포즈에 570만원을 썼다며 "금전적으로 부담이 됐지만 여자친구의 친구들이 많이 부러워했다"고 밝혔다.
고가의 청혼 문화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김모 씨는 인터뷰에서 "여자 친구가 호텔에서 샤넬 가방과 함께 프로포즈를 받은 친구의 사진을 보여줬는데 깜짝 놀랐다"며 "머릿속으로 비용이 얼마인지 계산부터 했다"고 털어놨다.
WSJ는 "한국 결혼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면서 "큰 비용이 드는 호화로운 호텔 프로포즈는 결혼율에 도움이 되지 않고 커플들에게는 압력을 가하는 웨딩 트렌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