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공개한 전술핵탄두. 뉴스1 제공북한이 가상 핵 공격을 상정한 공중 및 수중폭발 훈련‧시험을 동시에 진행한데 이어 핵무기 목록을 이례적으로 상세히 공개함으로써 그 배경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매체들은 28일 전날 이뤄진 공중폭발 시범교육사격 훈련과 핵무인수중공격정(무인잠수정) '해일-1'의 수중기폭 시험 사실을 보도했다.
이들 매체는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같은 날 핵무기 병기화 사업을 지도한 사실을 전하며 '화산-31' 전술핵탄두 사진을 비롯해 다량의 핵 무기체계를 보란 듯이 소개했다.
김 위원장의 뒤 벽면에 걸린 화판(패널)에는 600mm 초대형 방사포(KN-25)와 무인잠수정 '해일', 화살-1,2형 순항미사일 등 핵 운반체 그림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었다.
북한은 실물일 가능성이 높은 '해일'과 '화살-2' 등도 함께 배치했고, 해일이 물속으로 잠항하는 장면과 모의 핵탄두 공중폭발 장면도 비교적 해상도 높은 사진으로 보여줬다.
화산-31 전술핵탄두 첫 공개…최근 잇단 무력시위 중간 결산?
핵무기병기화사업 지도하는 김정은. 뉴스1 제공
북한은 특히 이번에 처음 공개한 화산-31 전술핵탄두의 경우, 모자이크 처리도 하지 않은 채 결합볼트 구멍까지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선명한 사진을 공개했다.
화산-31은 옆에 서있는 김 위원장 신체 크기와 비교할 때 직경 500mm 미만으로 추정된다. 이는 북한이 의도적으로 화산-31을 노출함으로써 전술핵 소형화와 실전 배치, 양산 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여러 개의 동일한 화산-31을 나열한 사진은 초대형 방사포나 순항미사일, 무인잠수정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무기체계에 탑재할 수 있도록 표준화했다는 의미로 읽힌다.
북한의 이번 공중 및 수중폭발 시연과 전격적인 무기고 공개는 최근 일련의 무력시위를 종합하는 중간 결산이라고 볼 수도 있다.
다양한 무기 동원과 변칙적 연속 훈련을 통해 수중‧지상‧공중 구분 없이 입체적이고 동시다발적인 핵 기습 능력을 인증 받고자 한 셈이다.
여기에다 북한이 실전에선 재래식 무기와의 '섞어쏘기'로 교란전을 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북한의 위협은 이미 임계점에 달한 상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와 관련해 "(북한 무인잠수정 능력에 대한) 한미 양국의 분석과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본 결과 그 주장이 과장되고 조작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평가 절하했다.
하지만 북한의 핵기술 발전 속도로 볼 때 무인잠수정 실전 배치도 시간문제로 보인다. 이 무기는 김 위원장이 "무려 29차례 직접 지도"했을 만큼 북한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더구나 북한은 이번에 무기고 공개뿐만 아니라 핵무기 종합관리체계인 '핵 방아쇠'의 존재도 대외에 알렸다.
김 위원장은 또 '핵반격 작전계획'과 '명령서'를 검토하고 "핵무기 보유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것을 지시해 외부정세와 상관없이 제 갈 길을 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일부 내용이 과장되고 조작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북한이 점점 통제불능의 사실상의 핵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부상하고 있는 역대급 안보불안 시대에 진입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정찰위성, 정각발사 대신 핵실험 직행?"…이미 기술 완성" 반론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핵무기병기화사업을 지도하고 핵반격작전계획과 명령서를 검토했다. 연합뉴스
결국 남은 관심은 북한의 다음 수순이다. 북한이 스스로 '시험' 단계라고 밝혔듯 무인잠수정은 최종 완성 전이며, 그 외에 8차 당대회에서 천명한 전략무기 개발도 현재진행형이다.
이와 관련해 북한의 추후 무력시위는 정찰위성 발사나 정상각도 ICBM 발사가 될 것이란 전망이 일반적이었다.
북한은 이미 올해 4월 정찰위성 1호 발사를 예고한 바 있고, '태평양 사격장' 발언 등의 김여정 담화를 통해서는 정상각도 발사를 수차례 경고해왔다.
하지만 이번에 핵무기 목록을 보여주고 특히 화산-31 전술핵탄두를 처음 공개한 것은 북한이 7차 핵실험으로 바로 직행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게 만든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북한의 과거 핵폭탄 공개 후 핵실험으로 이어져왔다"며 전술핵 실험 공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반면 북한이 화산-31 사진을 공개한 것은 전술핵 완성은 물론 실전배치까지 시사한 것으로, 오히려 역설적으로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란 분석도 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화산-31과 관련해 "북한이 과거 5차 핵실험시 공개한 핵 기폭장치와 비교해도 상당히 소형화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7차 핵실험 전망에 물음표를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