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재난 경각심 높아지는데…서울시 안전앱 이용률 1% '유명무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공공안전앱 활성화해야…정부, 지자체 통합 필요"

재난 속보와 시민행동요령 등을 전파하는 서울시 공공안전 애플리케이션(앱)의 이용률이 1%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매년 수천만 원의 유지 비용을 지출하는 것에 비해 정보 제공 효과 등은 크지 않아 사실상 '무용지물'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전문가들은 행정안전부, 소방청 등 정부나 지자체가 각각 운영하는 공공안전앱을 하나로 통합해 효율성과 이용률을 높이는 한편, 적극적인 홍보를 펼쳐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서울시 공공안전앱 '서울안전' 이용률 1.3% 불과
정보 및 차별성 부족…2019년 '폐기' 권고도
전문가들 "시민들에게 와닿을 수 있는 재난정보 필요"

서울 송파구 삼전동 탄천1교 우측 안전지대. '서울안전'앱 정보와는 다르게 제설함이 없는 모습이다. 민소운 기자서울 송파구 삼전동 탄천1교 우측 안전지대. '서울안전'앱 정보와는 다르게 제설함이 없는 모습이다. 민소운 기자
재난 속보와 시민행동요령 등을 전파하는 서울시 공공안전 애플리케이션(앱)의 이용률이 1%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년 수천만 원의 유지 비용을 지출하는 것에 비해 정보 제공 효과 등은 크지 않아 사실상 '무용지물'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핼러윈 참사' 이후 재난 정보 전파와 대응 등에 더욱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행정안전부, 소방청 등 정부나 지자체가 각각 운영하는 공공안전앱을 하나로 통합해 효율성과 이용률을 높이는 한편, 적극적인 홍보를 펼쳐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울시 공공안전앱 이용률 '1.3%' 불과…이유는

21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12월 기준 서울시 공공안전앱인 '서울안전' 이용률은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 100명 중 1명만이 앱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서울안전' 앱은 서울시가 지난 2018년 개발해 5년째 운영하고 있는 공공안전앱이다.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시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속보와 시민행동요령 등을 통합 제공한다. 해당 앱을 통해 서울지역 재난 및 안전사고 소식을 실시간으로 접하고 대피소나 소화기·제설기·제설함 등 안전편의시설 등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는 해당 앱 개발에 약 1억 2천만 원의 예산을 들였다. 이후에도 해당 앱을 유지·관리하는 데 매년 수천만 원의 예산을 쓰고 있다. 서울시 자료를 살펴보면 △2019년 1600여만 원 △2020년 2600여만 원 △2021년 2500여만 원 △2022년 2900만 원 등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꾸준히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 이용률은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해당 앱 누적 다운로드 수는 △2018년 3만7880건 △2020년 8만4773건 △2021년 11만3799건 △2022년 13만6120건으로 매년 소폭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1% 내외 이용률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해당 앱의 이용률이 낮은 이유 중 하나는 정보 및 차별성 부족으로 분석된다. 앱이 제공하는 정보나 기능들이 정부나 소방청이 운영하고 있는 기존 안전앱들과 중복될 뿐, 새로운 내용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행안부가 운영하고 있는 안전앱 '안전디딤돌'과 서울안전앱의 기능은 상당 부분 유사하다. △긴급신고 기능 △안전편의시설(지진옥외대피소·민방위대피소·한파쉼터·보이는소화기·제설시설물) 위치 안내 △재난·사고 속보 제공 △재난 시 시민행동요령 안내 등이다.
 
또 재난 및 사고 시 시민행동요령과 관련 안전디딤돌앱은 70개로 분류해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서울안전앱은 24개에 불과한 상태다.
 
서울안전앱은 소방청 안전앱 '119신고'와도 기능이 중복된다. △긴급 신고 △심폐소생술 정보 제공 △소화기·소화전 사용법 등은 모두 119신고 앱이 기존에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다.

'서울안전'앱 캡처'서울안전'앱 캡처
 
서울안전앱 정보가 일부 정확하지 않은 것도 저조한 이용률의 원인으로 꼽힌다. 제설함 등 안전편의시설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일부 포착됐다.

시의회에서도 서울안전앱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박순규 서울시의원은 지난 2020년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해당 앱으로 행안부로부터 '재난관리평가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돼 교부세 약 6억 원을 받았는데도 앱을 활성화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보다 앞선 2019년에는 서울안전앱에 대한 성과 측정을 매년 행안부에 제출해야 하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아 행안부로부터 앱 '폐기' 권고를 받기도 했다.

'핼러윈 참사' 이후 높아진 경각심…"공공안전앱 활성화 필요"

'핼러윈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공공안전앱의 전반적인 개선 및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민들에게 좀 더 와닿을 수 있는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등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군중 밀집 상황에 대한 대처법을 안내하고 영상 등을 통해 쉽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며 "현재는 사회재난, 인적재난보다는 자연재난 위주로 정보가 제공되는데,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 지자체가 각각 운영하면서 중첩된 공공안전앱들을 하나로 통합해 운영하는 방식도 제안됐다. 공하성 교수는 "119처럼 공공안전앱도 하나로 통합을 해야 한다"며 "행안부를 기준으로 해서 통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고, 서울 시민들이 알아야 할 부분들도 통합 앱을 통해 들어가서 볼 수 있도록 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시 측은 "해당 앱에 대해 지속적으로 개선을 하고 홍보를 하고 있다"며 "지난 11월에 재해지도 모바일 버전을, 이번주에는 보이는 소화기도 새로 구축하는 등 지속적인 개발 및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스템 개발 및 유지관리 사업은 한정된 예산이 있기 때문에 모든 과업을 다 진행할 수 없는 어려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