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부산본부 조합원들이 지난달 24일 부산항 신항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있다. 화물연대 부산본부 제공화물연대 파업이 8일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부산지역 기업들도 생산과 건설 공사 현장 중단 등 피해가 가시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화물연대 2차 파업에 따른 지역 경제계 파급 영향을 긴급 모니터링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모니터링 결과 철강, 건설, 레미콘 업종은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되거나 공사 현장이 셧다운되는 등 피해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레미콘 제조업체인 A사는 주원료인 시멘트 공급 차질로 피해 우려가 컸다. 평상시 보유하고 있던 2~3일분 재고가 이미 소진돼 공장 가동 중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B사는 레미콘 등 건자재 수급 중단으로 공사 중단 현장이 발생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모든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될 것을 우려했다.
해상공사를 하는 C사 역시 하루 시멘트 사용량이 상당한 수준이라 재고 보유가 하루치에 불과해 공사 중단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철강 업체인 D사는 파업이 시작된 지난주부터 물류가 중단됐고 제품보관 장소도 마땅치 않아 생산 자체가 중단된 상황이다. 또 다른 철강 업체인 E사는 원자재 반입은 아직 문제가 없으나, 철근 및 반제품 출하를 위한 비화물연대 소속 화물차량 수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원자재 및 제품 크기가 작은 금속, 기계, 섬유 업종은 물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업종도 사태 장기화 시에는 물류 차질로 인한 생산과 납기 준수에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화학, 자동차 업종은 큰 차질이 없지만, 다음 주부터 원자재 반입 등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생산량 감소와 납기 지연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 기업은 정부의 강경 대응이 파업 사태 장기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 기업 손실을 최소화해주길 희망했다. 이미 생산 차질이 본격화된 기업들은 업무복귀명령 등 강경책을 써서라도 조속하게 물류 정상화를 끌어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부산상의 제공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수출제조기업 비중이 높은 부산의 경우 수출 납기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면 어렵게 확보한 해외거래선을 놓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화물연대의 대승적인 타협이 절실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