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수돗물에 공기까지…점증하는 '녹조 독소' 위협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낙동강변 녹조 1km 밖 주택가까지 에어로졸 전파
해외연구서 녹조 증가와 간질환 사망 상관관계 확인
환경부 "연구용역 통해 과학적으로 검토 예정" 신중론
환경단체, 29일 공동조사 간담회서 심각성 개진키로

지난달 4일 낙동항 하류 지점인 경남 김해시 대동선착장에서 환경단체 관계자가 녹조가 심한 낙동강 물을 잔에 담은 이른바 '녹조 라떼'를 보여주고 있다. 정혜린 기자지난달 4일 낙동항 하류 지점인 경남 김해시 대동선착장에서 환경단체 관계자가 녹조가 심한 낙동강 물을 잔에 담은 이른바 '녹조 라떼'를 보여주고 있다. 정혜린 기자
마실 물에 이어 숨쉬는 공기에서까지 녹조 원인균이 발견되는 등 '녹조 독소'를 둘러싼 시민사회의 경고가 계속되고 있다. 환경부는 인체유해성 여부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1일 국회·부산시청·대구시청 등지에서 동시에 기자회견을 열어 낙동강의 녹조(남세균)가 공기로 전파되고 있다고 폭로했다. 액체미립질(에어로졸) 형태로 수변에서 1km 이상 떨어진 주택가까지 녹조가 날아간 것이 확인됐다는 얘기다.

창원대·부경대·경북대 연구팀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세차례에 걸쳐 낙동강 일대 12개 지점(중복포함)에서 채집한 공기에서 녹조가 포착됐다. 또 포집한 남세균을 분석한 결과 간 독성과 생식 독성을 일으키는 '마이크로시스틴'은 물론, 뇌 질환 원일물질인 'BMAA'(β-Methylamino-L-alanine)가 검출됐다.

특히 마이크로시스틴은 강가로부터 1.17km 떨어진 아파트단지 옥상에서까지 검출됐다. 환경운동연합은 "남세균 생성 독소는 분자구조에 따라 남세균보다 더 멀리 확산할 수 있어, 위험 범위는 최소 1.5km 이상"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낙동강에서 1.5km 떨어진 가정집에서 빗물 떨어지는 처마 밑으로 생성된 녹색 띠를 확인한 결과 남세균이었고, 낙동강에서 사람이 쓰고 다닌 마스크 표면에서도 남세균의 부착이 확인된 바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국민 안전에 위협일 수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미국에서는 남세균 면적이 1% 증가하면 비알콜성 간질환 사망률 0.3%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부경대 이승준 교수의 국내 연구에서도 4대강 공사 구간 일대에서 비알콜성 간질환이 증가했다는 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각 조사지점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량. 환경운동연합 제공각 조사지점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량. 환경운동연합 제공
이번 발표는 낙동강 물, 인근 경작지 농산물, 정수된 수돗물에 이어 낙동강 주변 공기까지 남세균에 오염됐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앞서 지난 2월 부경대 연구팀에 의해 낙동강 물로 재배한 무에서 1.85µg/kg, 배추에서 1.126µg/kg, 3월에는 2종류의 쌀에서 각각 3.18µg/kg과 2.53µg/kg씩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게 확인됐다. 수돗물은 지난 7월 3개 시료에서 0.226~0.281µg/L 검출된 바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식품이나 마실 물을 통한 남세균과 독소의 인체 유입은 소화기와 간을 거치면서 일부 완화될 수 있지만, 방어 체계가 많지 않은 호흡기 유입은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며 "사람 콧속 후각 상피는 점막이 얇아 독성 물질 흡수가 빠르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는 향후 실시될 민관 공동조사에서 낙동강 녹조 전반에 대한 종합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환경부는 조사범위를 수돗물 속 마이크로시스틴 여부에 한정하는 쪽으로 구상 중이다. 공기 오염과 관련해서는 내년 12월 완료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위험성을 예단하기 이르다는 입장이다.

환경부는 "에어로졸에 대한 해외 연구가 많지는 않으며, 관련 연구에서 인체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검토됐다"며 "연구용역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으로 인한 친수활동 영향, 인근 지역 영향 가능성 등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낙동강네트워크 임희자 공동집행위원장은 "환경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선제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오는 29일 세종청사에서 예정된 환경부와의 민관 공동조사 관련 간담회에서 최근 공기 전파 사례까지 녹조독소 전반에 대한 조사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계획이다.

임 위원장은 "미세먼지 문제는 수십년 뒤에나 정책현안이 됐고, 가습기살균제 문제 역시 수십년 지나서야 피해가 인정됐다. 그동안 많은 인명 피해가 있었다"며 "녹조독소 문제가 정책 과제가 되는 데도 똑같이 수십년을 허비하는 어리석음을 되풀이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조사지점 가운데 대구 화원유원지, 부산 삼락생태공원 등 일부는 인근 2km 내 도심이나 주거지역이 위치해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조사지점 가운데 대구 화원유원지, 부산 삼락생태공원 등 일부는 인근 2km 내 도심이나 주거지역이 위치해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