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서울 1인가구 153만 가구 넘었다…밀집지역 1위는 '강남구 역삼1동'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2030 1인가구 주로 대학‧회사 근처에 밀집거주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 사회적고립 위험도 높아
배달앱·동영상 사용량 2030 관악·강남에 집중↑

연합뉴스연합뉴스1인가구 비율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서울거주 1인가구 수가 153만4천 가구('22.6월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11월 통계청의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에서 파악된 1인가구 수보다 약 14만3천 가구(10.3%)가 늘어난 수치다.

2030 1인가구는 주로 대학‧회사 근처에 밀집거주하고,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는 이동‧외출‧통화 적어 사회적고립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9일 서울시는 이런 내용이 담긴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시는 SKT, 서울시립대와 협력해 인구·가구 통계 등 공공데이터와 300만 명의 가명 처리 통신데이터를 결합해 데이터를 만들었다.

2020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기준 서울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1만3435가구로 관악구 청룡동이 1위였고 강남구 역삼1동(1만2735가구), 광진구 화양동(1만2704가구), 관악구 신림동(1만1942), 강서구 가양1동(1만1023가구) 순이었다.

2022년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기준에서는 1인가구가 많은 행정동 순위와 인구 대비 1인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 순위가 차이를 보였다.

1인가구는 더 늘고 순위도 바뀌었다. 강남구 역삼1동이 1만6130가구로 가장 많았다. 광진구 화양동(1만5049가구), 관악구 청룡동(1만2798가구), 관악구 신림동(1만2258가구), 동작구 상도동(1만900가구) 순으로 큰 변화를 보였다.


서울시 제공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이같은 데이터를 통해 1인가구의 삶을 종합적‧입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령‧지역‧성별 등에 따라 생활방식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2030 1인가구는 대학가나 회사가 많은 특정 행정동(광진구 화양동, 강남구 역삼1동, 관악구 청룡동 순)에 몰려서 거주하고 있는 중장년층(40~50대)은 저층주거지(강남구 역삼1동, 강서구 화곡1동, 중랑구 중화2동 순)에서, 노년층(60대 이상)은 강북‧도봉‧노원구에서의 밀집도가 각각 높았다. 특히, 도심(중구‧종로구)은 1인가구 수 자체는 많지 않았지만 인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통화 등으로 커뮤니케이션(소통)을 잘 하지 않는 1인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비율이 더 높았다.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는 이동거리, 외출건수, 통화건수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 크게 적어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문자‧통화량 등을 토대로 유추한 커뮤니케이션(소통)이 적은 1인가구(하위 10%) 중에서 69세 이하 전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소통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명동, 을지로동, 회현동 등 도심에 거주하는 중장년 이상 1인가구의 통신 기반 커뮤니케이션이 특히 적은 것으로 추정됐다.

배달앱 사용량이 많은 지역은 관악, 강남, 광진 순으로 나타나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배달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유튜브 등 동영상‧방송 서비스는 사용 횟수는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신데이터를 활용해 행정동별 배달서비스 접속건수를 분석한 결과, 관악구 신림동(월평균 18.4회), 강남구 논현1동(18.1회), 강남구 역삼1동(17.6회) 순으로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5~34세에서 가장 많았다.

유튜브 등 동영상‧방송 서비스 사용횟수는 30대에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관악구 신림동(월평균 28.1회), 강남구 역삼1동(월평균 26.6회), 강남구 논현1동(월평균 26.4회) 순으로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높았다.

서울시는 저소득 구간에 속하는 고령층 1인가구의 경우 휴일 이동거리, 전화통화를 하는 사람의 수, 휴일 외출건수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이 적어 사회적 접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를 통해 현재 2030 1인가구의 미래 경제활동이 위축된다면 향후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고 사회 활력을 떨어트릴 수 있는 만큼 관련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제공서울시 제공서울시 제공서울시 제공
이번 서울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에 공개된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는 공공‧연구기관은 물론 기업, 학생, 일반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이혜경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1인가구와 사회적 약자 등을 위한 복지그물망 정책개발을 위해서는 시의성 있고, 시·공간적으로 해상도 높은 데이터가 꼭 필요하다"며 "향후에도 다종 데이터 간 결합을 통한 빅데이터 연구 활성화로 시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중추적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