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16개 구·군 간판기업과 핵심산업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원도심 해운물류·조선, 해운대·남구 등 동부산권은 서비스 중심
서부산권은 제조업 부가가치 가장 높아

부산 구·군별 핵심 산업과 기업. 부산상공회의소 제공부산 구·군별 핵심 산업과 기업. 부산상공회의소 제공서부산권(강서·사상·사하구)은 제조업, 원도심(중·영도구)은 해운조선, 동부산권(해운대·남구)은 서비스업이 가장 많은 매출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3일 부산 16개 구·군을 대표하는 핵심 산업과 간판 기업을 분석한 '부산 지역별 핵심 산업 및 기업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산업단지가 밀집한 강서구는 르노코리아자동차와 에어부산, 태웅 등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매출 상위에 포진했다. 기장군은 지역 자동차산업 중심지답게 성우하이텍과 SNT모티브, 신기인터모빌 등 자동차부품 기업 비중이 높았다.

연제구는 화승인더스트리를 필두로 화승코퍼레이션, 화승네트웍스 등 화승그룹 계열사들이 매출 상위권을 차지했다. 원도심인 중구는 해운물류 기업이 집적된 지역적 특성으로 에스엠상선, 인터지스가 나란히 매출 1위와 2위를 기록했다. 영도구는 에이치제이중공업, 대선조선 등이 매출 상위를 유지해 지역 조선산업 일번지 면모를 보였다.  
 
해운대구는 지난 2016년 부산에 둥지를 튼 현대글로벌서비스가 매출 1위를 차지했으며 동성모터스, 스타자동차 등 수입차판매 기업이 뒤를 이어 소비 중심지 면모를 드러냈다. 상업과 비즈니스 중심 업무 기능이 집적한 남구와 동구, 동래구, 부산진구는 부산은행, 디지비생명보험, 하이투자증권, 비엔케이캐피탈 등 금융업이 매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지역내총생산(GRDP)을 기준으로 보면 강서구, 기장군, 사상구, 사하구 및 영도구는 제조업 부가가치 산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강서구는 명지녹산국가산단을 중심으로 미음·신호·화전산단 등이 입지한 제조업 중심지이며 사하구도 조선기자재, 자동차부품, 철강업종 중심의 신평장림산단과 함께 구평·감천동 일원에는 중소조선소와 수리조선업이 발달해 있다.
 
사상구는 사상공업지역과 대규모 산업용품 유통단지를 보유하고 있고, 기장군은 명례·장안·정관산단에 자동차부품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오시리아 관광단지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해운대구는 관광·컨벤션과 대규모 유통 인프라 집적으로 서비스산업에서 가장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남구와 부산진구는 상업 업무기능과 문현국제금융센터를 중심으로 한 금융보험업이 핵심이다. 연제구는 공공, 사회보장과 같은 행정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가 높았고 중구는 부산항과 연계한 화물운송업과 항만물류업, 연안여객업 등이 발달해 운수 창고업의 부가가치가 가장 높게 나왔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센터 관계자는 "새로운 기업 유치와 함께 16개 구·군에 소재한 주력 기업들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다"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별 핵심 산업 육성을 위한 집적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