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서울 중소형 아파트값 2년새 3억 ↑…10억원 '눈앞'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2021-06-03 07:13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KB부동산 조사…경기 중소형은 5억 원 돌파

서울시내 아파트. 이한형 기자

 

NOCUTBIZ
최근 2년간 집값이 급등하면서 서울 중소형 아파트값이 평균 10억 원까지 차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2년 만에 3억 원 넘게 뛴 것이다.

경기도의 중소형 아파트값도 2년 사이 평균 1억 5천만 원 넘게 오르면서 5억 원을 넘어섰다.

수도권에서 서민의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한탄이 나온다.

3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월간KB주택시장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5월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 9585만 원으로, 2년 전과 비교해 3억 84만 원 올랐다. 상승률로 보면 43.3% 급등했다.

2년 전 6억 9501만 원으로 7억 원이 채 되지 않았던 중소형 아파트값이 10억 원 턱 밑까지 차오른 것이다.

2년 전 집을 사려다가 미뤘던 가족이 지금 같은 집을 사려 한다면 3억 원 넘는 돈이 더 필요해진 셈이다.

이 조사에서 중소형 아파트는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를 말한다. 이들 면적은 대부분 방 3개를 갖추고 있어 신혼부부부터 3~4인 가구까지 선호하는 인기 면적이다.

최근 2년간 중소형 아파트값은 상승률(43.4%) 기준으로 모든 면적 중 가장 크게 뛰었다. 그다음으로 소형(42.0%), 중형(39.3%), 중대형(37.4%), 대형(25.0%)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강남권(한강 이남 11개구)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맷값이 11억 5728만 원, 강북권(한강 이북 14개구)은 8억 6642만 원으로 조사됐다.

강남권 중소형 아파트값은 2018년 8월 8억 원을 넘긴 뒤 1년 5개월 만인 지난해 1월 9억 원을 돌파했고, 이후 7개월 만에 10억 원을, 그 뒤로 5개월 만에 11억 원을 넘겼다. 최근 1년 동안 2억 원 넘게 올랐고, 2년간 3억 3천만 원이 뛰었다.

강북권의 경우 중소형 아파트값이 2019년 8월 평균 6억 원대에 진입한 뒤 11개월 후 7억 원을 처음 넘어섰고, 이후 6개월 만에 8억 원을 넘겼다.

강북권 중소형 아파트값은 최근 1년간 1억 9천여만 원, 2년간 2억 7천여만 원 올라 강남권보다 금액은 적게 올랐으나 상승률로 보면 1년간 28.4%, 2년간 47.0% 올라 강남권(22.0%, 40.0%)보다 오름폭이 컸다.

경기도의 중소형 평균 아파트값은 5억 521만 원으로 전달(4억 9628만 원)보다 893만 원 오르며 처음 5억 원을 돌파했다.

최근 1년간 1억 2410만 원, 2년간 1억 5834만 원 올라, 상승률이 각각 32.6%, 45.6%에 달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권 고가 아파트 중에서는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면적 84.94㎡가 지난달 20일 30억 5천만 원(15층)에 거래됐는데, 2019년 5월 22억 5천만 원(18층)에 매매됐던 것과 비교하면 2년 사이 8억 원 뛰었다.

강북권에서는 은평구 수색동 대림한숲 84.95㎡가 지난달 7일 9억 원(14층)에 계약서를 써 2019년 5월 5억 6700만 원(5층)보다 3억 3300만 원 올랐다.

경기도에서는 화성시 청계동 동탄역 시범 더샵센트럴시티 84.39㎡가 지난달 1일 13억 8천만 원(30층)에 거래돼 2019년 7월 8억 3500만 원(12층)과 비교해 5억 4500만 원 상승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의 소형 아파트(60㎡ 이하) 평균 매매가격은 7억 8496만 원, 중형(85~102㎡)은 12억 5896만 원, 중대형(102~135㎡)은 14억 8465만 원으로 조사됐다. 135㎡ 초과인 대형 아파트값은 22억 5775만 원으로 3월 22억 원 돌파에 이어 상승을 이어갔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고소득·전문직 맞벌이 부부가 감당하기에도 버거운 수준으로 서울 집값이 치솟고 있고,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집값도 따라 오르며 중산층·서민의 내 집 마련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정부가 신혼부부 특공 등 다양한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정책 사각지대가 없는지 점검하고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