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코로나 고용충격, 과거 위기와 달리 기혼여성에 집중"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여성 종사자 비중 높은 대면서비스업 위축, 자녀돌봄 부담 가중에 자발적 경제활동 중단까지"

연합뉴스

 

IMF 외환위기 등 과거 경제 위기 때 고용충격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한층 강력하게 미쳤다.

대표적인 경기민감산업인 제조업과 건설업 등 종사자가 주로 남성인 까닭이다.

그런데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충격은 과거 경제 위기 때와 달리 여성 특히, 기혼여성에 집중됐다.

코로나19 위기 초기인 지난해 3월 25세부터 54세까지 핵심노동연령 여성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4만 1천 명이나 감소했다.

같은 달 남성 취업자 감소 폭 32만 7천 명을 압도하는 수치였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지연 연구위원은 22일 "여성 고용이 남성 고용보다 크게 감소한 건 과거 위기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코로나19 만의 독특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과거 위기와 달리 코로나19 위기에는 기혼남성보다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대폭 감소했다. 미혼남성과 미혼여성 간에는 의미 있는 고용률 격차가 관찰되지 않았다. KDI 제공

 

이날 김지연 연구위원은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성별격차와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코로나19 고용충격을 여성이 더 크게 받은 이유로 우선, 코로나19 사태 직격탄을 맞은 대면서비스업의 여성 종사자 비중이 남성보다 높은 점을 들었다.

코로나19 위기 1차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해 3월 전체 업종 고용률은 지난해 1월 74.7%에서 4.52%포인트나 하락했다.

고용률 하락이 두드러졌던 상위 3개 업종은 교육 서비스업(-1.70%포인트)과 숙박 및 음식점업(-0.65%포인트),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0.44%포인트)이었다.

이들 3개 업종의 여성 취업자 비중은 38%로, 남성 취업자 비중 13%를 압도했다.

여성 종사자 비중이 높은 대면서비스업이 코로나19 사태로 크게 위축되면서 일자리 감소를 여성이 남성보다 더욱더 심하게 겪은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여성 고용률 하락의 또 다른 요인으로 '자발적인 경제활동' 중단을 꼽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유치원 및 초·중·고교 개학이 연기되고 학기 시작 이후에도 원격수업이 병행되면서 여성의 자녀돌봄 부담이 가중된 데 따른 결과다.

김 연구위원 분석 결과 '32~38세'와 '39~44세' 집단에서 여성의 취업에서 비경제활동 즉, 자발적 경제활동 중단으로 이행 확률이 남성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2~38세는 영유아 자녀가, 39~44세는 초등학생 자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령 집단이다.

여성이 취업에서 비경제활동으로 이행할 확률은 32~38세보다 39~44세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김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위기에서 부각된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그로 인한 여성 노동 공급의 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여성의 이른 경력 단절은 영구적인 인적자본 손실로 이어져 코로나19 위기가 끝난 후에도 경제의 생산성과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초등학생 자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령대 여성의 노동 공급이 감소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난 데 주목했다.

이와 관련해 김 연구위원은 정부가 영유아 중심의 현행 돌봄지원정책을 초등학생 이상 자녀도 충분히 포괄할 수 있도록 개편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