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사업총화보고 메모하는 김여정. 연합뉴스
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12일 김여정 제1부부장의 정치국 후보위원 탈락과 관련해 "김여정이 후계자, 2인자 등으로 거론되는 것이 김정은에게 부담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이날 '북한 노동당 8차 당대회 및 중앙위 1차 전원회의 조직 및 인사 관련 결정 분석' 자료에서 "젊은 여성이 백두혈통이라는 이유만으로 고위직에 오르는 데 대한 간부들과 주민들의 부정적 시선 내지 반발을 김정은이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전략연은 다만 "정치국 후보위원 탈락은 김여정이 총괄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남 및 대미사업 부문의 성과 부진에 따른 문책일 수 있으나 언제든지 복귀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략연은 김정은의 당 총비서 추대에 대해서는 "호칭 상 각급 기관 위원장과 김정은 당 위원장의 차별성 부족을 탈피하고 당과 총비서의 권위와 위신을 강화한 조치"라며, "집체적 지도의 당 위원회제도보다 총 비서의 유일적 지도가 가능한 비서제가 김정은 유일체제 강화에 부합하는 형태"로, "김정은 권력기반 공고화 징표로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김정은이 중시한 사업에서 공을 세운 인사들의 파격 발탁도 권력 공고화의 징표"라며, "권한이 대폭 강화된 중앙검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된 정상학은 지난해 김정은의 직접 지시로 수해복구를 위해 파견됐던 제2수도당원사단 사단장"이며, "정치국 후보위원에 새로 선출된 리철만 농업부장 역시 황해남도 당 위원장 출신으로 지난해 태풍 8호 피해 발생 시 김정은 위원장으로부터 수해대응 능력을 인정받은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뉴스1 제공
전략연은 또 "대남 강경파 이미지와 지난 2018년 한반도 해빙기 주역의 이미지가 겹치는 김영철의 통일전선부장 복귀는 남측의 태도에 따라 행동을 취하겠다는 대남 메시지의 연장선"이고, "지난해 정치국회의에서 당 중앙위원에 보선되었던 권영진 상장이 총정치국장으로 정치국 위원이 된 것은 총정치국의 위상 약화를 방증 한다"고 분석했다.
전략연은 특히 "경제부문 출신 정치국원이 5년 전 7차 당 대회 때 4명(곽범기 당 공업담당 부위원장, 오수용당 계획재정부장, 로두철 국가계획위원장 임철웅 내각부총리)에서 이번에 7명(김덕훈 내각총리, 김재룡 조직지도부장, 박명순 당 경공업부장, 박정근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 양승호 내각부총리, 전현철 당 경제정책실장, 오수용 제2경제위원장)으로 대폭 증가한 것은 북한이 경제 회복에 정책의 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략연은 이어 "중앙검사위원회의 권한 강화와 당 간부들에 대한 규율 강화는 경제발전 실패가 부패와 관료주의 등의 결과라는 판단이 반영된 것"이라며, "간부들을 경제난 해소 실패의 책임을 묻기 위한 내부적 희생양으로 이용하는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