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보수단체의 광복절 집회에서 참서자들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고 있다.(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지난 15일 서울 광화문 집회 참석하고도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거부했다가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은 70대 여성이 결국 고발조처됐다.
하지만 충북에서만 최소 70명 이상의 집회 참석자가 여전히 진단 검사를 받지 않고 있다.
31일 충청북도 재난안전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충북 127번 확진자인 청주 70대 A(여)씨는 지난 15일 서울 광화문 집회 참석자였다.
A씨는 28일까지 진단 검사를 의무화한 충청북도의 행정명령을 무시했다.
청주시가 뒤늦게 집회 인솔자로부터 명단을 확보해 A씨에게 진단 검사를 받을 것을 권유했으나 무증상이라는 이유로 이마저도 거부했다.
방역당국과 실랑이를 벌이는 사이에 90대 시어머니가 28일 확진 판정을 받았고, 그제서야 검체를 채취했다.
시어머니가 이용하던 청주나래주간보호센터에서는 80대 이용자와 40대 직원을 포함해 모두 4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곳이다.
(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우선 시는 A씨가 방역 활동을 방해했다고 보고 경찰에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주간보호센터 'n차 감염'이 A씨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확인되면 치료비 등에 대한 구상권까지 청구할 계획이다.
문제는 A씨처럼 광화문 집회에 참석하고도 진단 검사를 받지 않은 도민이 여전히 최소 70명 이상에 이른다는 점이다.
청주시가 현재까지 자체적으로 집회 인솔자를 통해 확인한 집회 참석자 363명 가운데 검사를 받지 않은 인원만 무려 76명이다.
도내에서 872명의 집회 참석자가 이미 검사를 받았으나 GPS 정보를 통해 확인한 당시
집회 참석 관련자 명단(688명)에 이름을 올린 82명도 아직까지 검사를 기피하고 있다.
도는 광화문 집회 이후 잠복기인 2주일이 지났으나 무증상 감염 사례가 더 있을 수 있다고 보고 광화문 집회 참석자들의 조속한 검사를 거듭 독려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아직까지 검사를 받지 않은 집회 참석자들의 대다수가 집회와 무관하다거나 증상이 없다는 이유로 검사를 거부하고 있다"며 "자신과 가족, 이웃의 건강을 위해 집회 참석자들은 지금이라도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