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영순(대전 대덕), 황운하(대전 중구), 문진석(천안갑), 이정문(천안병)의원.(사진=자료사진)
21대 국회가 시작되면서 충청권 초선의원들의 의정활동도 활발해지고 있다. 각종 법안발의는 물론 전문 분야에 대한 세미나 등을 개최하며 인지도를 쌓고 있다.
3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박영순 의원(대전 대덕구)은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법과 회의에 불출석한 국회의원 세비를 삭감하는 법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법상 국회의원은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과 같은 선출직 공무원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소환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또 회의에 불출석한 국회의원에 대해서도 제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어 특권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박 의원이 대표 발의한 '국회의원의 국민소환에 관한 법률안'에는 지역구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의 투표 청구권자와 청구요건, 절차 및 효력 등에 관한 내용을 담아 놨다.
국민소환투표청구권자 총수의 100분의 15이상의 서명으로 소환투표를 청구할 수 있으며, 국민소환투표는 3분의 1 이상의 투표와 과반수 찬성으로 확정된다.
박 의원은 "지난 20대 국회는 저조한 법안 처리율 등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썼다"면서 "일하는 국회, 품격 있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약속을 했는데 이 법안을 통해 국민의 정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법 일부 개정안'에는 국회의원이 정당한 사유 없이 국회 회의에 불출석한 일수가 반기별 전체 회의일수의 100분의 10이상인 경우 일부 수당을 환수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같은 당 황운하 의원(대전 중구)은 검찰개혁에 대한 진행상황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검찰개혁, 현주소와 향후과제' 세미나는 올 초 국회를 통과한 공수처설치법안과 수사권조정법안의 후속조치를 확인하고 검찰 개혁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들을 초빙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황 의원은 "견제 받지 않는 권력의 남용으로 더 이상 억울하고 피해 받는 국민이 발생하지 않도록 검찰개혁 입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남 천안갑 문진석 의원은 후보시절부터 약속했던 월 세비 30% 기부를 실행했다.
문 의원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대한적십자사 충남지사에 월 세비 30%를 기부했다.
그는 "국회의원이 돼 처음으로 받은 6월 세비 30%를 전달했다"며 "코로나19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문 의원은 원내부대표로 선출되면서 중앙 정치무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세비 절반 기부를 실행한 천안병 이정문 의원은 23건의 법률안을 대표발의하는 등 의정활동 초반 입법활동에 전념하는 분위기다.
이 의원은 상시국회 도입과 국회의원의 세비삭감, 국민소환제 도입 등 '일하는 국회법'을 1호 법안으로 발의해 놓은 상태다.
또 지방인재육성을 위해 지방의대와 약대 정원의 일정 비율을 지역 고등학교 졸업자로 의무 선발하도록 하는 개정안도 대표 발의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초선의원들이 의정활동을 시작하면서 의욕적으로 다양한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역 발전은 물론 중앙정치무대에서의 역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