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뀌는 '에어포스 원', 내년엔 더 커진다… 747 최신형으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기존 보잉 747-400보다 더 큰 747-8i 모델
기체 가격, 개조비, 정비비 등 포함해 5년간 약 3천억원에 임차
교체 예정인 미국 대통령 전용기도 같은 모델…한국이 3년 먼저 이용
대통령 전용 시설과 통신·보안·미사일 방어 장비 등 탑재
구매 목소리도 나오지만 높은 가격에 매번 무산…당분간 힘들 듯

지난해 10월 일본 도쿄의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이륙 준비를 하고 있는 보잉 747-400 모델의 공군 1호기. (사진=김형준 기자)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등이 해외로 떠날 때 탑승하는 전용기인 공군 1호기가 새로운 모델로 교체된다.

국방부는 29일 "공군 1호기 경쟁입찰공고에서 대한항공의 보잉 747-8i가 선정됐고, 이를 5년간 임차하는 내용의 계약을 대한항공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 B747-8i 차세대 항공기. (사진=연합뉴스)

 

◇ 미국 대통령도 쓰게 될 747 최신형…5년간 3천억원에 빌려, 지금보다 비용 2배 상승

새로 도입되는 747-8i는 보잉 747 계열 가운데 최신형인 747-8의 여객기형으로, 기존의 747-400보다 좀더 크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가 위상과 기체 신뢰성, 후속 군수지원 등을 감안해 군사요구도를 설정했고 그 결과 747-8i가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미국의 대통령 전용기로 유명한 '에어포스 원'의 차기 모델이기도 하다. 지난 2015년 1월 데보라 제임스 미 공군청장은 이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보잉 747-8은 대통령에 대한 지원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능력을 갖추고 있는 유일한 미국산 항공기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다만 우리 정부가 새 전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기체 개조와 외부 도장 등을 거쳐 2021년 11월부터인데, 미국 정부의 에어포스 원 2대는 2024년 12월 인도될 예정이니 우리가 3년 정도 더 빨리 이를 써보는 셈이다.

이번 도입에 드는 예산은 3002억 9천만원으로, 기체 자체의 가격과 임무 수행에 맞춘 개조 비용, 정비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기체 자체 가격은 900억원 정도이며 임무 목적에 맞도록 개조하는 비용이 540억원인데, 여기에 최신형 모델인 관계로 해외에 정비를 맡겨야 해 약 840억원의 정비 비용이 추가로 소요된다.

이밖에 엔진 고장에 대비해 예비 엔진도 함께 임차하는 비용 240억원, 인건비 등 운영비와 행사 준비비 480억원 등을 포함해 약 3천억원의 예산이 든다. 현재 '공군 1호기'의 임차 비용인 약 1410억원의 2배가 넘는다.

개조 내용에는 대통령이 탑승하기 위한 전용석과 시설을 비롯해 대통령의 일정에 동행하는 수행원석과 기자석이 포함되고, 그밖에 통신·보안장비를 탑재하고 미사일 방어 등 자체 생존성을 올리기 위한 개조들도 적용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군사보안 사항이기 때문에 세부내역을 공개하는 데는 제한이 있지만, 아랍 부호들 같은 경우 개조 비용이 비행기 기체 가격보다 비싸다고 한다"며 "옵션이 많은데 예산 안쪽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정했다. 전용기의 개념으로 봤을 때는 높지 않은 가격이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아시아나항공을 통해 보잉 747-8i보다 더 큰 에어버스 A380을 임차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3057억원 한도로 책정된 예산을 뛰어넘는 4천억원대의 견적이 나와 도입이 무산됐다.

◇ 전용기 '구매'는 예산 문제로 매번 무산…추진 목소리 나오지만 당분간 힘들 듯

지난 2017년 6월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취임 후 첫 해외 순방 일정인 한미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공군 1호기는 대통령이 탑승하는 만큼 공군 소속의 최정예 파일럿이 조종하며 승무원도 대한항공의 승무원들과 공군 소속의 군인들로 함께 구성돼 있다.

다만 비행기 자체는 공군이 아니라 대한항공의 자산이며 이를 장기 임차해 쓰는 방식이다. 과거 전용기 구매가 추진된 적이 있었지만 높은 예산 부담에 무산됐다.

2006년 노무현 정부는 2010년 도입을 목표로 전용기 구매를 추진했다. 당시 국방부에 따르면 예산은 기체 가격 1300∼1400억원에 내부 개조와 각종 장비 장착 비용을 포함해 모두 1900억원 정도로 추산됐지만,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에 여당이 된 한나라당이 이를 추진하자 민주당이 막아섰다. 한나라당이 당시의 일에 대해 사과하고 민주당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합의는 이뤄졌지만, 보잉에서 정부가 제시한 5천억원의 비용을 훨씬 뛰어넘는 1조 2천억원을 요구하면서 도입은 결국 무산됐다.

정부는 2009년에도 대통령 전용기 사업추진전략을 승인하고 2010년 4월 보잉과 EADS를 지명경쟁업체로 선정했지만, 제안서 접수 과정에서 EADS가 참여를 포기했다. 우리 정부가 제시한 금액과 보잉이 요구하는 금액이 차이가 커 협상은 또 엎어졌다.

이후 정부는 대한항공에서 보잉 747-400 모델을 2010년부터 2015년까지 1157억원에 임차했고, 이를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410억원에 빌리기로 한 번 더 연장해 올해 3월까지 쓸 예정이었다. 새 전용기 도입이 결정됨에 따라 이 계약은 2021년 10월까지로 한 번 더 연장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표현처럼 '능력 있는 중견국'이 된 우리나라가 '국격'에 맞게 전용기를 구매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격 등을 보면 구매도 검토를 해야 하는 것은 맞고, 현재로서는 아니지만 예산이 허락한다든가 하면 검토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2011년 정부가 한국국방연구원(KIDA)에 의뢰해 나온 연구용역보고서를 보면, 전용기를 구매해 25년간 타는 것을 기준으로 1조 1천억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한다.

물론 9년 동안의 물가 상승도 고려해야 하지만, 이번 계약을 기준으로 25년간 드는 비용을 단순 계산해 보면 1조 5천억원이기 때문에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용역 등을 거쳐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 구매를 추진하는 것이 보다 나은 선택일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문재인 대통령 스스로가 '전시 상황'이라고 표현할 만큼 나라 경제 사정이 좋지 않아 당분간 전용기 구매 추진 카드는 쉽게 꺼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