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금융위원회 제공)
은행권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직접고용 10만1000명, 간접고용 3만1000명으로 분석됐다. 은행권이 대출을 통해 일반기업의 일자리를 창출한 실적은 1만3000명 가량으로 추정됐다.
17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은행(산업은행·기업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 제외)의 직접고용 인원은 10만1000명이다.
금융위가 은행권 일자리 창출 평가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세우자 은행들은 '일자리 만들어내라는 압력 행사'라며 반감을 드러낸 바 있다. 금융위는 이같은 업계 부담을 감안해 은행별 실적을 공표하는 대신, 은행권 전체의 합계치를 발표했다.
직접 고용인원은 직무별로 영업부문이 가장 많았다. 영업인력은 70.6%로 비중이 가장 컸고, 이어 경영지원(7.0%), IT(4.4%), 상품개발(4.2%), 경영전략(1.8%)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위는 "경영효율화 등에 따라 영업·경영지원 인력은 점차 축소되는 반면 비대면거래 증가 등으로 IT부문 인력은 소폭 증가세"라고 설명했다. 영업 인력은 2017년 7만2000명에서 지난해 7만1100명으로 줄었다. IT 인력은 반대로 4200명에서 4400명으로 늘었다.
직접 고용된 사람들은 정규직이 압도적으로 많다. 지난해 은행권 비정규직은 8100명으로 전체 고용인원의 8.6% 수준에 그치는 비중이다. 이는 2006년의 25%에 대비할 때 크게 낮아졌다.
성별로는 여성인원이 5만1000명으로 전체 고용인원 대비 50.5%에 달해 과반을 기록했다. 2006년(44%) 대비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프=금융위원회 제공)
은행권 간접고용은 민원대응, IT 외주, 대출모집인 등 파견·계약을 통해 상시 유지하는 고용을 나타낸다. 은행권의 이같은 연관산업 고용효과는 지난해 기준 3만1000명으로 나타났다. 민원대응과 IT 외주인력 중심으로 2017년 대비 1000명 늘었다.
간접고용 구성은 콜센터 등 민원대응 인력(20.9%)과 경비 등 보안 인력(20.5%) 비중이 컸다. 이어 IT(13.9%), 대출·카드모집인(11.9%), 채권추심(2.7%) 순이었다.
금융위는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등에 따라 민원대응 인력, IT 업무 증가 등에 따라 IT 외주인력 고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출·카드모집인은 온라인 직접 신청 증가세에 따라 감소세다.
한편 은행권의 기업 대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약 1만3000명으로 추산됐다. 금융위는 지난해 신규 기업대출 취급액 206조1000억원에 KDI의 2010년 연구결과를 반영해 이같이 추정했다. 해당 KDI 보고서는 은행권 신규 자금공급 10억원당 1년간 0.065명이 신규 고용된다고 적시했다.
금융위는 다만 "9년전 과거 분석결과를 인용한 것으로, 대출의 고용유발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단순히 대출 증가에 따라 고용이 증가한다는 인과관계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